<일본시장조사보고서>2021 FinTech 시장의 실태와 전망 ~렌딩서비스 편~(일본어판)
(일본어목차)2021 FinTech市場の実態と展望 ~レンディングサービス編~
자료코드: C63117200 / A4 117p / 2021. 09. 30
금융기관에서는 차세대 점포에 대한 대응잉 진행되어 고객과의 관계변화를 볼 수 있다.
비대면·온라인상에서의 거래 등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계속해서 벤처기업과의 협업사례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 은행 서비스를 은행 이외가 제공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소셜렌딩이나 스코어렌딩 등 여러 가지 렝딩서비스가 대두하고 있다.
은행의 FinTech에 관한 최신 대응과 렌딩서비스의 시장규모, 실적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기본방향을 고찰한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본 리포트에서는 일본의 FinTech 현황에 대해서 렌딩서비스를 중심으로 조사해, 동향과 과제 등의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의 시장 동향을 전망한다.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FinTech 전략, 오픈 API 및 BaaS 사업 등에 대해서 조사했다.
조사대상: 본 조사에서는 금융기관, 렌딩서비스 제공기업을 대상으로 아래 6사를 대상으로 청취조사를 실시했다.
금융기관(iBank마케팅, 스미신SBI넷은행, GMO아오조라넷은행, 민나노은행)
FinTech 사업자(렌딩서비스 제공업체) (freee finance lab, 크레디트엔진그룹) 합계 6사
조사방법: 연구원의 대면취재. 전화조사 및 문헌조사 등.
조사기간: 2021년 7월~2021년 9월
◆자료 포인트
• 은행, 벤처기업(렌딩)의 관점에서 FinTech 실태를 파악
• 은행의 API 공개에 따른 금융서비스 확충 가능성을 고찰
• 렌딩서비스 시장규모 및 내역 산출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BaaS, 임베디드 금융에 관한 대응 상황을 기재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 포인트
제1장 총론
1. Fin Tech란
2. FinTech 시장 현황
2.1 FinTech 관련 법 개정 등 외적 환경의 변화
2.2 렌딩서비스의 현황
2.3 API 연계 추진 상황
3. 시장규모
3.1 렌딩서비스 시장 규모(2018~2021년)
4. 장래 전망
4.1 렌딩서비스 시장 예측(2020년~2024년)
4.2 렌딩서비스 시장 전망
5. BaaS의 확대
5.1 BaaS란
5.2 BaaS 사업 제공의 장점
5.3 앞으로의 전망 및 과제
제2장 금융기관의 실태와 대응
1. 메가뱅크의 대응 상황
1.1 FinTech에 관한 현황
1.2 애프터 코로나 /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의 은행의 과제
2. 지방은행·제2지방은행의 대응 상황
2.1 FinTech에 관한 현황
2.2 애프터 코로나 /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의 은행의 과제
3.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응 상황
3.1 FinTech에 관한 현황
3.2 대응 상황
3.3 API에 관한 활동
3.4 코로나19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
4. SBI홀딩스의 제4의 메가뱅크 구상
4.1 개요
4.2 지역금융기관에 사업운영 지원
제3장 렌딩서비스 제공기업의 실태와 대응
1. 소셜렌딩
1.1 소셜렌딩의 개요
1.2 코로나19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
1.3 비즈니스 모델
1.4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
2. 온라인 (AI) 대출
2.1 온라인(AI) 융자의 개요
2.2 주요 참여 사업자
2.3 주요 진출 사업자의 강점
2.4 비즈니스 모델
2.5 사업 강화를 위한 대응
2.6 타깃 고객
2.7 시장규모
3. 스코어렌딩
3.1 스코어렌딩의 개요
3.2 주요 참여 사업자의 강점
3.3 비즈니스 모델
3.4 사업 강화를 위한 대응
3.5 타깃 고객
3.6 실적
3.7 시장규모
제4장 BaaS 현황
1. BaaS의 현황
1.1 BaaS란
1.2 제공기업 목록
1.3 제공기업의 대응
1.3.1 스미신SBI넷은행
1.3.2 GMO아오조라넷은행
1.3.3 민나노은행
1.3.4 신세이은행그룹
1.4 BaaS 사업 제공의 장점
1.5 앞으로의 전망
제5장 개별기업의 실태
1. 스미신SBI넷은행
2. GMO아오조라넷은행
3. iBank마케팅
4. 민나노은행
5. freee finance lab
6. 크레디트엔진그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