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7일 월요일

인바운드마켓의 실태와 향후 예측 / 야노경제연구소

<일본시장조사보고서>인바운드마켓의 실태와 향후 예측~(일본어판)
자료 코드 C58112720 / A4 187p / 2016.09.30



지금 일본시장의 기폭제가 되고 있는 인바운드 수요는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하게 확대되었다. 작년 후반부터 「싹쓸이 쇼핑」 현상은 보이지 않는다고 하지만, 현재도 방일외국인수는 과거 최고를 계속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보아도 인바운드의 동향은 소매업에서 중요한 포인트인 것은 틀림없다. 본 조사 리포트에서는 인바운드의 움직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서도 현재 인바운드 마켓의 실태를 근거로 통계적인 분석을 종합해 향후 예측을 실시했다.


■조사 개요
조사 목적:일본시장에서 방일외국인 관광객의 소비상황 및 브랜드 상품에 관한 소비 등을 정리해 향후 전체 시장에 대한 영향, 브랜드상품 마켓에 미칠 영향을 검토, 예측한다.
조사 대상:폐사 조사자료 「수입시장&브랜드 연감 2016」에 게재되어 있는 브랜드기업 및 조사·취재 시를 실시한 소매업 등의 정보를 토대로 편집했다.
조사 방법:면접 취재/전화 취재, 폐사 기존 데이터의 분석, 공적 데이터 수집 등의 문헌조사
조사기간:2016년 1월~2016년 9월


■자료 포인트
• 급증하는 방일외국인. 2016년중에는 2,000만명을 돌파하는 것은 확실인가?
• 인바운드의 주역인 중국인관광객 소비 잠재력은 한계점 도달? 아니면 아직 초기단계?
• 2015년 후반부터 인바운드 소비의 실속이 표면화. 인바운드 붐은 종식했는가?
• 지역성이 현저한 인바운드 수요. 일본 5대마켓은 도쿄, 오사카, 삿포로, 후쿠오카, 오키나와


■게재 내용


제 1장 일본시장의 인바운드 실태와 향후 전망

1. 일본시장의 인바운드의 동향
  1-1.방일외국인수 추이(2000년~2015년)
  1-2.방일외국인수 국가별 트렌드
2. 인바운드 마켓을 구축하는 요인 및 그 동향
  2-1.공항, 항로 등의 확장과 동향
  2-2.입국비자 완화정책
  2-3.면세대상 상품 범위 및 면세점 확대
  2-4.환율의 영향
  2-5.아시아제국의 경제성장(해외여행인구의 확대)
3. 일본 국내지역별 인바운드 상황
  3-1.현재 방문지역과 향후 방향성
  3-2.수도권 지역(도쿄·요코하마) 상황
  3-3.게이한신 지역(오사카·교토·고베)의 상황
  3-4.후쿠오카 지역의 상황
  3-5.홋카이도의 상황
4.향후 방일외국인수 예측
  4-1.시장 예상


제2장 방일외국인의 배경과 가능성

1. 국가별로 보는 방일외국인의 각국 사정
  1-1.각국 여행 관련 데이터
        중국
        대만
        홍콩
        대한민국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영국
        호주


제3장 소비재 인바운드 마켓 사이즈와 향후 예측

1. 소비재 인바운드 마켓 산출
  1-1.인바운드 마켓사이즈 추이(2011년~2016년 예측)
  1-2.국가별 인바운드 마켓사이즈 추이
  1-3.인바운드 마켓규모 예측
2. 상품별 인바운드 마켓 분석
  2-1.상품별 인바운드 마켓규모 추이
  2-2.주력상품의 인바운드 마켓 상황
3. 판로별 인바운드 마켓 분석
  3-1.판로별 인바운드 마켓 동향
  3-2.주요 판로의 인바운드 마켓 상황
  3-3.공항 면세점·시중 면세점의 가능성
4. 지역별 인바운드 마켓 분석
  4-1.지역별 인바운드 마켓


제4장 브랜드상품 마켓의 인바운드 수요의 실태와 전망

1. 수입 브랜드·인 바운드 소매시장 전체 동향
  1-1.마켓 사이즈와 시장동향
  1-2.아이템별 마켓 동향
  1-3.판매 채널별 마켓 동향
2. 유력 수입브랜드의 인바운드 소비의 실태
  2-1.수입브랜드 시장의 인바운드 수요의 동향
3. 수입브랜드 시장의 인바운드 수요의 예측
  3-1.향후 수입브랜드 시장에서의 인바운드 예측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