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M2M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
【자료체재】
자료명:「2024년판 IoT/M2M 마켓 ~현장에 보급되고 있는 IoT/M2M 시스템, IoT 통신규격 확대도 마켓의 훙푼으로!~」
발간일:2024년 10월 31일
체 재:A4판 318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4년 7월~10월
2. 조사대상: IT 벤더, SIer(시스템 인테그레이터), 플랫폼 벤더, It 벤처, 해외 사업자 등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전화조사, 설문조사 및 문헌조사 병용
<M2M 시장 용어정의>
M2M(Machine to Machine: 기기 간 통신)이란,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주로 휴대전화/PHS 통신규격에 준한 통신모듈을 내장한 기기·디바이스 간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조사에서 M2M 시장규모란, M2M을 실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네트워크 기기, 통신모듈, 센서/디바이스), 플랫폼(클라우드), 시스템(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등) 등을 대상으로 하여 각 사업자의 매출액 기준으로 산출했다.
<IoT 시장 용어정의>
IoT(Internet of Things)는 기존의 M2M 통신영역에 더하여 가전제품 및 가구,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사람(SNS 등의 정보), 축산·반려동물, 운수·물류, 방범·보안, 돌봄서비스 등 네트워크 접속환경하에 있는 모든 사물과 경험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시장 구조로서 IoT는 본 조사의 M2M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에 위치한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네트워크·회선 이용료/통신비, 통신모듈, 센서/디바이스, 플랫폼/클라우드 이용료, 시스템/애플리케이션 개발비, 패키지/미들웨어 비용, 운용관리비 등
◆2023년도 일본 M2M 시장은 전년도 대비 10.4% 증가한 2,660억 엔
~코로나 사태 이후 사회 전반에서 확산된 '원격·리모트 지향'과 더불어 '인력 부족', '일하는 방식 개혁 지향' 등도 맞물려 M2M 시장은 시장환경이 호전~
일본 M2M 시장규모 추이 및 예측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사업자 매출액 기준
주2. 2024년도는 전망치, 2025년도 이후는 예측치
주3. M2M을 실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네트워크 기기, 통신모듈, 센서/디바이스), 플랫폼(클라우드), 시스템(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등) 등을 대상으로 했다.
1. 시장 개황
본 조사에서는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주로 휴대전화/PHS 통신규격에 준한 통신모듈을 내장한 기기·디바이스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M2M(Machine to Machine: 기기 간 통신)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과 플랫폼 이용 동향을 조사했다.
2023년도의 일본 M2M 시장규모는 사업자 매출액 기준으로 전년도 대비 10.4% 증가한 2,660억 엔으로 추계했다. 2023년도는 2020~2021년도의 낮은 추이에서 완전히 벗어나 2022년도의 기세가 이어졌다. 코로나 사태 이후 사회 전반에서 퍼진 「원격·리모트 지향」에 더해 「일손 부족」과 「일하는 방식 개혁 지향」 등도 맞물려, M2M 비즈니스의 시장환경은 완전히 호전됐다고 말할 수 있다.
2. 주목 토픽
로컬 5G 동향
2024년도부터 로컬 5G 활용의 검토·검증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리고 로컬 5G는 2025년도 이후에는 보급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인 로컬 5G 비즈니스의 타깃은 「실시간 대응/원격 모니터링, 업무 최적화, 의사결정 지원, 자동화·자동 제어, (데이터 활용을 기본으로 한) 예지·예측·예방, 가치 향상」이 될 전망이다.
중·장기적으로 보면 산업 분야에서의 5G형 IoT는 서서히 침투할 전망이다. 2030년경이 되면 기존의 IoT 시스템에서의 셀룰러 회선분(4G/LTE, 3G, 셀룰러 LPWA)이나 유선 네트워크 등을 대체하는 형태로 5G형 IoT 마켓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로컬 5G형과 셀룰러 5G형 IoT 네트워크가 병용될 것이다.
※참고자료
「로컬 5G 솔루션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2024년 2월 28일 발표)
https://www.yano.co.jp/press-release/show/press_id/3473
3. 장래 전망
일본의 M2M 시장은 2025년도 이후에도 계속 견조해 연율 10% 전후의 신장을 계속해 2030년도는 5,300억 엔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요인으로서는 우선은 5G 대응 통신모듈의 등장에 의해 카메라·화상 솔루션 등에서의 새로운 M2M 수요 창출이 있다. 게다가 신차 판매 중 앞으로는 통신 기능을 가진 '커넥티드카'의 비중이 높아져, 이 카테고리에서의 수요 상승 효과도 크다. 더불어 최근에는 LPWA나 920MHz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IoT 네트워크의 보급도 진행되고 있어, 이 영향도 새로운 M2M 수요 창출에 주효하다.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할 때 2030년도를 향해서 일본 M2M 마켓은 높은 성장을 이룰 전망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