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일본시장 동향 조사결과(2024년)
【자료체재】
자료명:「2024-2025 메타버스의 시장동향과 전망」
발간일:2024년 10월 31일
체 재:A4판 294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4년 8월~10월
2. 조사대상: 메타버스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본 사업자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이 직접면담(온라인 포함) 및 문헌조사 병용
<메타버스 용어정의와 시장 대상>
본조사에서 메타버스란 가상과 현실을 융합한 인터넷상 에 구축된 3차원 공간으로, 유저끼리 자신의 아바타를 조작해 교류하거나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메타버스로 정의했다.
또한, 메타버스는 서비스의 대상에 따라 크게 엔터프라이즈(법인용) 메타버스와 컨슈머용 메타버스로 분류할 수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모두를 조사대상으로 했다. 단, 게임 전업의 메타버스 서비스는 제외했다.
본 조사에서 메타버스 시장규모는 메타버스 플랫폼, 플랫폼 외(콘텐츠, 인프라 등),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XR(VR/AR/MR) 디바이스의 합산치. 플랫폼과 플랫폼 외는 사업자 매출액 기준, XR 디바이스는 판매가격 기준으로 산출했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메타버스를 활용한 각종 서비스
◆2023년도 일본 메타버스 시장규모를 전년도 대비 35.3% 증가한 1,863억엔으로 추산
~XR 디바이스의 보급과 함께 AI 기술에 의한 콘텐츠 개발의 효율화·고도화가 더욱 진행되어 2028년도에는 시장규모가 1조 8,700억엔에 달할 것으로 예측~
메타버스의 일본 시장규모 추이·예측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시장규모는 메타버스 플랫폼, 플랫폼 외(콘텐츠, 인프라 등),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XR(VR/AR/MR) 디바이스의 합산치. 플랫폼과 플랫폼 외는 사업자 매출액 기준, XR 디바이스는 판매가격 기준으로 산출했다.
주2. 엔터프라이즈(법인용) 메타버스와 컨슈머용 메타버스를 대상으로, 게임 전업의 메타버스 서비스는 제외했다.
주3. 2024년도는 전망치, 2025년도 이후는 예측치
1. 시장 개황
2023년도 일본 메타버스 시장규모(플랫폼, 콘텐츠·인프라 등, XR 디바이스의 합산치)는 전년도 대비 135.3%인 1,863억엔으로 추계하고, 2024년도는 동 147.6%인 2,750억엔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2023년도는 코로나 사태로 기업의 DX화가 가속되면서 메타버스 시장으로의 신규 참가기업이 급증한 2021~2022년도에 비해 일시적으로 성장률이 둔화됐다.
현재, 일본의 메타버스 시장은 PoC(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의 단계를 거쳐 전략적인 투자로 진행되는 기업과 ROI(투자 수익률)가 향상되지 않아 사업에서 철퇴하는 기업으로 이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3년도부터 2024년도에 걸쳐 메타버스 관공서(온라인에서 일부 행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지역 부흥 행사 등 지자체의 메타버스 도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산업분야에서는 교육과 소매, 엔터테인먼트 등 영역에서 구체적인 활용사례가 보급되고 있어, 메타버스는 특정 분야에서 실용적인 가치가 인식되는 단계로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2. 주목 토픽
지자체의 메타버스 수요 확대
자치체에서 메타버스의 활용은 특히 지역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으로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지역 격차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활용이 더욱 진행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야를 들 수 있다.
• 교육분야에서의 대응
과소 지역과와 낙도와 같은 교육 자원이 한정되는 지역에서는 메타버스를 사용한 원격교육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VR과 3D 공간을 이용해 학생이 지리적 제약을 넘어 도시지역 수업과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물리적으로 참가가 어려운 지역에서도 같은 교육을 받을 기회가 생긴다. 이 외에 메타버스를 활용한 등교거부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자치체의 대응이 증가하고 있다.
• 의료 서비스의 확충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진료와 의료교육이 시범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의사와 의료 종사자가 가상공간에서 진료와 상담을 실시함으로써 과소 지역 주민이 도시지역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고도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의료 종사자의 트레이닝에 대해서도, 메타버스 내에서 기술 습득이 행해짐으로써, 지역의 의료 레벨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 관광 산업의 진흥
지역 진흥의 일환으로서 지방의 관광지를 메타버스 상에 재현해, 가상 관광을 촉진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지역에 사는 사람들과 외국인들이 메타버스 공간을 통해 지방의 관광지를 가상 관광 체험할 수 있고, 지역의 매력을 널리 알릴 기회가 증가한다. 실제 방문자를 늘리기 전 단계로서 메타버스 내에서의 프로모션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 장래 전망
현재, 일본시장에서는 글로벌 시장에 비해 메타버스가 소비자에게 아직 충분히 침투되고 있지 않다. 특히 지방과 고령자층에서는 메타버스에 대한 인지도가 여전히 낮다. 현재, 메타버스 관련 업계에서는 일본 메타버스 시장을 여명기 또는 환멸기에 있다고 인식되고 있어, 성공하는 비즈니스모델이 아직 형성 도중 단계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1~2년에는 폭발적인 성장보다 지속적인 투자와 AI 등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엔터프라이즈(법인용) 시장에서 컨슈머 시장으로 서서히 침투해 나가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측한다. 5년 정도의 긴 기간으로 보면, 특히 XR 디바이스와 조합함으로써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컨슈머 시장에 메타버스가 넓게 침투하기 위해서는 XR 디바이스 보급의 타이밍이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전제로 2027년도 이후에는 XR 디바이스의 진전과 함께 AI 기술에 의한 콘텐츠 개발의 효율화·고도화가 더욱 진행되어 컨슈머 시장의 성장이 가속하는 것으로, 2028년도 일본 메타버스 시장규모(플랫폼, 콘텐츠·인프라 등, XR 디바이스의 합산치)는 1조 8,700억엔에 달할 것으로 예측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