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호 테크놀로지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
【자료체재】
자료명:「2024년판 개호 테크놀로지(로봇)과 고령자 ICT 서비스 시장의 장래 전망」
발간일:2024년 9월 29일
체 재:A4판 172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4년 7월~9월
2. 조사대상: 개호 기기 메이커 및 서비스 사업자 등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이 직접 면담(온라인 포함) 및 문헌조사 병용
<개호 테크놀로지 용어정의>
본 조사에서 개호 테크놀로지란 개호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 등의 자립 지원과 간병인의 부담 경감에 도움이 되는 이승지원, 이동지원, 배설지원, 돌봄, 목욕지원, 개호업무지원 등 기능을 가진 기기·시스템·서비스와 커뮤니케이션 로봇을 말한다.
<시장에 포함된 상품 및 서비스>
이동지원기기(장착형·비장착형), 이동지원기기(장착형·비장착형), 배설지원기기(배설물처리·배설동작지원·배설예지/감지), 돌봄기기(시설용·독거 고령자용), 커뮤니케이션 로봇, 입욕지원기기, 개호업무지원 기기·시스템
◆개호 인재 부족을 배경으로 정부의 지원도 있어 개호시설용 돌봄기기를 중심으로 개호 테크놀로지의 이용 확대가 진행될 전망
1. 시장 개황
로봇은 3가지 요소기술('정보를 감지(센서)', '판단(지능·제어)', '동작(구동)')을 가진 지능화된 기계시스템이며, 개호로봇이란 로봇기술이 응용되어 이용자(고령자 등)의 자립지원과 간병인의 부담 경감에 도움이 되는 기기다.
개호로봇은 '개호지원형', '자립지원형', '커뮤니케이션/보안형'의 3가지 종류로 크게 분류되어, 이승지원과 이동지원, 배설지원, 돌봄, 목욕지원, 커뮤니케이션 등 각 니즈에 맞추어 개호시설을 중심으로 도입되어 있다.
2. 주목 토픽
개호로봇의 도입 상황에 대해서
후생노동성 '개호현장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조사연구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개호로봇의 도입상황은 '돌봄지원기기(입소·단기거주·거주)'가 34.2%로 가장 많이 이용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목욕지원기기(입소·단기거주·거주)'가 11.9%, 개호업무 지원기기(입소·숙소·거주)' 11.7%로 나타났다.
3. 장래전망
고령자 인구의 증가와 개호 인재 부족을 배경으로 향후도 개호 테크놀로지의 도입은 개호 시설을 중심으로 진전될 전망이다. 특히 개호수가개정에 따른 가산과 야간 인력배치 완화 조치 등을 배경으로 계속해서 돌봄 기기가 많은 개호시설에서 도입될 전망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