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5일 화요일

2024년판 산지직송 비즈니스의 시장 실태와 장래 전망 ~DtoC의 활성화, 미이용 자원의 상품화 등으로 확대되는 농산물 유통·판매의 신조류~(일본어판)/야노경제연구소

 <일본시장조사보고서>2024년판 산지직송 비즈니스의 시장 실태와 장래 전망 ~DtoC의 활성화, 미이용 자원의 상품화 등으로 확대되는 농산물 유통·판매의 신조류~(일본어판)

(일본어목차)2024年版 産直ビジネスの市場実態と将来展望 ~DtoCの活性化、未利用資源の商品化等で拡大する農産物流通・販売の新潮流~

자료코드: C66110700 / A4 418 / 2025. 01. 31

농업 진입 규제가 완화되는 추세 속에서 많은 농업생산법인과 일반법인이 시장에 계속 진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직매나 계약 거래를 활용해 업무용 수요를 끌어들이고 있다. 도매시장은 시세 변동이나 까다로운 규격으로 수익이 불안정한 반면, 시중 유통에서는 생산자가 가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규격외품도 군더더기 없이 판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시장 외 유통 확대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판로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음식점 휴업과 행사 중단으로 기존 판로가 감소하는 가운데 산지직송 택배가 새로운 선택지가 됐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지향성 제고와 집밥 기회 증가로 안심·안전한 식재료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산지직송 택배 수요가 확대됐다. 생산자의 얼굴을 알 수 있는 상품 제공은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게다가 유기농 채소의 확대도 시장 외 유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건강과 환경의식의 고조를 배경으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농업에 새롭게 뛰어든 사람들 중에서도 유기농업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시장 외 유통의 이점에는 생산자가 가격 결정권을 갖고 다양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점이 꼽힌다. 향후는 소비자 수요의 발굴이 중요하며, 생산자 스토리나 지역 특색을 널리 알림으로써 식재료 구입을 초월한 가치를 제공하는 대처가 요구된다. 본 자료에서는 계속 확대되는 산지직송 시장의 현황과 유력 기업에 의한 대응 등을 상세하게 리포트한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산지직송 비즈니스 관련 기업(농업생산법인, 농산품 유통 사업자, 농산품 판매 사업자 등)의 사업 전략 상품 동향, 과제 및 문제점, 시장 확대를 위한 대처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산지직송 농산품 시장 현황과 향후 방향성을 밝힌다.

• 조사대상 사업·상품: 산지직송 농산품

• 조사대상 기업·단체:

농업생산법인(자사·계약형 농장, CSA)

농산품 유통 사업자(유기농 농산물 유통, 산지직송 플랫폼)

농산품 판매 사업자(농산물 직판장, 푸드로스 관련 비즈니스, 체험형 농업테마파크(관광농원), 산지직송 택배, 수급 매칭 사업) 등

• 조사항목: 목차 참조

• 조사방법: 폐사 전문 연구원의 대면취재 및 전화, 질문지 등에 의한 간접 공청회 실시. 관공서 통계자료 관련 업계 단체 공개자료 등의 수집·분석을 실시.

• 조사편집기간: 2024년 7월~2025년 1월

◆자료 포인트

• 2030년 산지직송 비즈니스 시장 전망

• 시장 진출 기업 사례 확충

• 최신 주목 기업·유력 기업 사례연구×40사(생산·판매동향, 물류체제, 사업과제, 사업전략 외) (생산·판매동향, 물류체제, 판촉전략, 사업 전개상 문제점, 향후 사업전략 외)

리서치 내용

제1장 산지직송 농산품의 시장동향(총론)

1. 다용화되는 소비자 니즈와 시장 외 유통의 가능성

  ~건강지향성과 환경의식의 고조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

2. 윤리적 소비의식 고조

3. 농산물 밸류체인

  ~재편이 진행되는 소매기업, 대기업 농업생산법인 및 JA와의 제휴사례도 확대~

  (1)농업생산

  (2)유통

  (3)소매·외식·식품가공

  (4)계속 증가하는 기업의 농업 진출

4. 농산물 유통의 동향 ~시중 외 유통 증가가 계속~

  (1)증가하는 도매시장 외 유통

  (2)생산자와의 관계 강화

  (3)개정 도매시장법의 영향

  (4)청과물 유통의 주요 플레이어와 업계 구조 및 특성

  (5)청과물 유통의 시장 특성과 과제

  (6)청과물에서 도매시장 유통과 시장 외 유통의 위치

  (7)향후 청과물 시장 외 유통의 시장성~수직통합형 푸드체인화 경향이 강해진다~

5. 산지직송 농산품의 시장규모

  (1)산지직산 농산품~기후불순과 재해로 인한 도매시장의 가격 시세 불안정을 배경으로 산지와의 직거래 증가~

    ①산지직송 농산품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

    ②시장 유통의 변화(2019~2023년)

    ③산지직송 농산품의 최종 채널별 시장구성비(2023년)

  (2)산지직송 축산물

    ①산지직송 축산물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②시장 유통의 변화(2019~2023년도)

  (3)야생 금수 식용고기

    ①야생 금수 식용고기의 시장동향

    ②야생 금수 식용고기의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③야생 금수 식용고기의 용도별 구성비(2023년도)

  (4)산지직송 수산물

    ①산지직수산물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②시장유통의 변화(2019~2023년도)

  (5)산지직송 화훼

    ①산지직송 화훼 시장규모 추이(2018~2022년도)

    ②시장유통의 변화(2019~2023년도)

6. 산지직송 농산물 시장규모 예측

  (1)산지직송 농산품(2024~2030년)

    ~도매시장과 시장 외 유통이 서로 보완하는 형태로의 변형이 진행~

  (2)산지직송 축산물(2024~2030년도)

  (3)산지직송 수산물(2024~2030년도)

  (4)산지직송 화훼(2024~2030년도)

제2장 산지직송 농산품 생산 관련 시장

1. 계약형 농장 비지니스

  (1)계약형 농장 비즈니스의 시장동향

    ①계약형 농장 비즈니스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②재배방식별 시장점유율(2023년)

    ③판매처별 점유율(2023년)

  (2)기업 사례

    ①농지이용형(노지 재배) 진출 기업

    ②시설재배형의 유형별 개요 및 특징

    ~안정공급, 저농약, 고품질 등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전략이 중요~

  (3)재배동향~노지 재배는 지역 특성에 적합한 품목 선정이 필수~

  (4)계약형 농장 비즈니스 과제

    ①공통 과제와 해결을 위한 방향성

    ②기업별 과제와 특징

  (5)계약형 농장 비즈니스의 시장 전망

    ~수출시장의 확대가 기대되는 한편, 물류 인프라나 환경 부하에 대한 대응이 중요한 테마로~

2. CSA(지역지원형 농업)

  (1)CSA 현황

  (2)농촌 RMO와 CSA의 연계 가능성

    ①생산체제의 강화

    ②판매처의 확대

    ③리스크 분산과 효율화

  (3)농촌 RMO의 대표적 사례(후쿠시마현 이나와시로마치미 祢(미네)지구)

  (4)농촌 RMO에 의한 지역 조직 수 추이

  (5)유기농 농산물과의 연계 가능성

    ①고부가가치화

    ②소비자 니즈와의 일치

    ③프리미엄 가격 실현

  (6)농촌 RMO와 유기농 농산물과의 삼위일체적 연계

    ①통합적인 플랫폼 구축

    ②교육과 인증 추진

    ③지역 브랜드 창출

  (7)진출 기업의 주목 비즈니스 모델

  (8)CSA의 과제

    ①고객의 이탈 리스크

    ②부가가치 제공의 필요성

  (9)일본의 CSA 시장 전망

    ①생산면

    ②유통판매면

  (10) 해외 CSA 시장의 동향

    ①미국 산지직송 시장에서의 CSA의 위치

    ②미국 CSA 농장 수 추이(2005~2020년)

    ③미국 산지직송 시장의 채널별 구성비(2020년)

    ④유럽 각국의 CSA 이용 현황

    ⑤유럽 각국 CSA 농장 수(2015년)

    ⑥유럽 각국의 CSA 이용자 수(2015년)

제3장 산지직송 농산품의 유통 관련 시장

1. 유기농 농산물 유통

  (1)유기농 농산물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대형 매장을 중심으로 유기농 상품 구색이 확대되고 있어 사업자 간 유통량이 확대~

  (2)유기농 농산물 검사인증제도

    ①검사인증제도 창설 경위

    ②검사인증제도의 구조

  (3)일본농림규격

    ①일본농림규격 제정의 경위

    ②일본농림규격의 개요

    ③유기농산물 생산에 관련된 비료 및 토양개량자재

    ④유기농산물 생산에 관련된 농약 및 관련 자재

  (4)일본의 유기 포장 면적 추이(2012~2023년)

    ~최근 10년간 약 2배로 확대~

  (5)일본 국내총생산량에서 유기JAS의 비율(2022년도)

  (6)수출 현황~동등성 승인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여 향후 대상국이 증가할 전망~

    ①해외 유기농 인증제도

    ②인증 동등성과 국가 간 협정

    ③일본으로부터의 유기농 식품의 수출

    ④동등성 승인국의 최신 상황

  (7)동등성 구조를 이용한 수출 수량 추이(2013~2023년)

  (8)주요 유기농 농산물 및 유기농 식품 수출 수량(2023년)

    ~말차라떼, 양과자, 영양제 등으로 용도 확대~

  (9)건강 지향의 고조와 일본 문화의 침투로 증가하는 녹차의 수출 동향

    ~유기농 인증과 국내 유명 산지는 해외에서 고급품 지역을 확립~

  (10)기업 사례

    ①비오세본자폰

    ②몰타

    ③이온아그리창조

    ④사카노토추

    ⑤비오마켓

  (11)재배 동향

  (12)유기농 농산물의 과제

    ~수작업이 많아지기 때문에 지역에서의 고용 확보가 중요~

  (13)유기농 농산물 유통 시장 전망

    ~생산체제 강화, 물류의 효율화, 브랜드 가치의 호소가 성장의 열쇠~

2. 산지직송 플랫폼

  (1)산지직송 플랫폼 시장 모 및 예측(2019~2030년)

    ~유기농 취급을 확대하여 새로운 시장 개척으로 이어지다~

  (2)정부의 대응 사례 「국산 채소 점유율 탈환 프로젝트」

    ~국산의 가치 재평가, 수입품에서 국산품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 진행~

  (3)기업 사례

    ①MC프로듀스

    ②몰타

    ③일본농업

    ④에어워터

  (4)원료의 국산화 등에 의한 실수요 확대 사례

  (5)원료의 국산화를 뒷받침하는 가공, 업무용 채소의 실수요자 니즈에 관한 의식, 의향

  (6)채소 수요량·생산량 등의 추이

  (7)가공·업무 채소의 유통 구조

  (8)산지직송 플랫폼 비즈니스 과제

    ~실수요자 기업이 생산자와 직접 거래를 진행하는 '중간 선택'의 리스크에 직면~

  (9)산지직송 플랫폼 비즈니스 전망

    ~부가가치 높은 상품 제공,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 구축, 생산자 지원 강화 필수~

제4장 산지직송 농산품 판매 관련 시장

1. 농산품 직판장(인숍·오프라인점)

  (1)농산품 직판장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과부화 및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에서는 이동형 소매 서비스의 보급이 이용자 수 감소 요인~

  (2)기업 사례

    ①JA

    ②엔케이비(NKB)

    ③모리빌

    ④다카요시

    ⑤농업종합 구소

    ⑥일본산직공수

  (3)농산품 직판장(인숍·오프라인점)의 과제

    ~수출사업 확대를 위해 양질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산지 개발이 급선무~

  (4)농산품 직판장(인숍·오프라인점) 전망

    ~도시지역에서는 일정한 니즈가 있는 한편,

     지방에서는 일상적인 구매 기회의 확보와 저렴한 가격이 중시되는 추세~

2. 농산품 직판장(휴게소)

  (1)농산품 직판장(휴게소)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지역진흥을 담당하는 직판장에서는 현지에서 채취한 농산물과 해산물이 판매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2)휴게소 수 추이(2018~2022년)

    ~전국에서 도로의 역 등록 수는 매년, 증가세~

  (3)휴게역 운영관리 위탁처 구성비

    ~전체의 약 90%가 시정촌 이외의 기업 등에 위탁~

  (4)기업 사례

    ①애그리미디어

    ②파소나그룹(단고왕국브루어리)

  (5)농산품 직판장(휴게소)의 과제

    ~지역 특성에 따른 거점 선정 및 자원의 효과적 활용이 과제~

  (6)농산품 직판장(휴게소) 전망

    ~지역에 따라 다른 다양한 과제 해결을 위한 전개가 시장 전체의 성장에 기여~

3. 푸드로스(규격 외 채소) 관련 비즈니스

  (1)푸드로스(규격 외 채소) 관련 비즈니스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지속가능한 사회를 지향하는 새로운 유통형태로서 성장을 지속~

  (2)기업 사례

    ①아메카제타이요(구: 포켓마르쉐)

    ②코쿠킹

    ③밸류드라이버즈

    ④도토생활협동조합

    ⑤Mong Tong

  (3)규격 외 농수산물, 결품 및 과잉포장에 관한 의식조사 결과

    ①응답자 속성

    ②규격 외 구매 경험

    ③규격 외 등의 구입 이유

    ④규격 외 구매 경험이 없는 이유

  (4)푸드로스(규격 외 채소) 관련 비즈니스 과제

    ~규격 외 채소를 구입할 수 있는 점포가 부족~

  (5)푸드로스(규격 외 채소) 관련 비즈니스 전망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구조의 정비가 필요~

4. 체험형 농업테마파크

  (1)관광농원의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국내외 여행수요 확대, 인바운드 관광객 증가가 훈풍으로 작용~

  (2)관광농원의 경영 상황

    ①농업경영체별 구성비

    ②연매출 금액별 구성비

  (3)취급품목별 구성비

    ~품목별 취급 상황에서는 배따기, 포도따기 등 '과일'이 압도적 점유율~

  (4)관광농원의 경영체 수의 추이

    ~농가(개인)는 절반, 농가(법인)는 10% 증가~

  (5)기업 사례

    ①가고메

    ②큐피

    ③주텐코

    ④노우타스

    ⑤히라타관광농원

  (6)체험형 농업테마파크 과제

    ~인구감소가 진행되는 지역에서 지속적인 집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광농원 자체의 매력 향상이 과제~

  (7)체험형 농업테마파크 시장 전망

    ①체험형 테마파크

    ~세상에 자사 상품의 장점을 전하는 새로운 마케팅 장소~

    ②관광농원~지역사회 기여 사업모델 더욱 확대~

제5장 산지직송 택배 및 수급 매칭 관련 시장

1. 산지직송 택배

  (1)산지직송 택배 시장규모 및 예측(2019~2030년)

    ~생산자 측과 소비자 측의 수요를 끌어들여 시장이 확대~

  (2)기업 사례

    ①쿡패드마트

    ②비오마켓

    ③아메카제타이요

  (3)산지직송 택배의 과제~배송의 효율화는 계속해서 산지직송 택배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

  (4)산지직송 택배 시장의 전망

    ~지속가능성, 지역활성화, 소비자체험 심화를 핵심으로 성장이 지속~

2. 수급 매칭 비즈니스

  (1)수급 매칭 비즈니스 시장 모 및 예측(2019~2030년)

    ~고급 식재료 및 지역특산품을 제공하여 실수요자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2)기업 사례

    ①인포마트

    ②사카노도추

    ③세이와

    ④비비드가든

    ⑤야사이버스

  (3)수급 매칭 비즈니스 과제~BtoB 시장에서는 품질 기준 및 규격이 다양~

  (4)수급 매칭 비즈니스의 시장 전망~효율적인 배송 네트워크 구축이 관건~

제6장 유력 기업의 개별 실태(40개사)

1. 생산 관련

  주식회사 아이쇼

  이온아그리창조 주식회사

  에어워터 주식회사

  주식회사 과실당

  주식회사 긴테쓰백화점

  주식회사 구보타

  주식회사 고로나아그리

  주식회사 사이젤리아

  JFE라이프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네마키

  도미나가상사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텍베지터블팩토리

  주식회사 후지오푸드그룹본사

  주식회사 플레너스

  블록팜 합동회사

  야요이화학공업 주식회사

2. 유통 관련

  주식회사 케이아이프레시액세스

  주식회사 일본농업

  주식회사 마루타

3. 판매 관련

  주식회사 애그리미디어

  가고메 주식회사

  큐피 주식회사

  센다이터미널빌딩 주식회사

  주식회사 단고왕국브루어리

  주식회사 주덴코

  일본공항빌뎅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본산직공수

  주식회사 농업종합연구소

  노우타스 주식회사

  유한회사 히라타관광농원

4. 산지직송 택배·수급 매칭 관련

  주식회사 아메카제타이요

  주식회사 우오

  주식회사 사카노도오

  주식회사 식문화

  주식회사 마코토와

  도토생활 협동조합

  팔시스템생활협동조합연합회

  주식회사 비오마켓

  주식회사 비비드가든

  레드호스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