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1일 금요일

일본 어패럴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야노경제연구소

 일본 어패럴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

【자료체재】

자료명: 「2024 어패럴 산업 백서」

발간일: 2024년 9월 30일

체 재: A4판 383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4년 7월~9월

2. 조사대상: 어패럴 메이커(종합 어패럴, 남성 어패럴, 여성 어패럴, 유아·아동 어패럴 외), 소매업(백화점, 양판점, 전문점, 기타), 상사, 업계단체 등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및 우편설문조사, 문헌조사 병용

<어패럴 시장 용어정의>

본 조사에서의 어패럴 시장이란, 종합 어패럴, 남성 어패럴, 여성 어패럴, 유아·아동 어패럴 등의 어패럴 관련 기업에 의한 어패럴·일용잡화의 소매금액 기준으로 산출했다. 또한 2차 유통인 재활용센터 등의 판매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시장에 포함된 상품 및 서비스>

남성 아이템(정장, 재킷·블레이저, 코트, 슬랙스·팬츠, 셔츠), 여성 아이템(정장, 포멀웨어, 원피스, 재킷·블레이저, 코트, 하의, 셔츠·블라우스), 기타(니트 제품[스웨터류, 티셔츠류, 폴로셔츠류], 청바지, 유아·아동복, 이너웨어 등)

◆2023년 어패럴 총 소매시장 규모는 8조 3,564억 엔으로 전년대비 103.7%

~성장은 둔화됐으나 3년 연속 플러스~

일본 어패럴 총 소매시장 규모 추이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소매금액 기준

1. 시장 개황

2023년의 일본 어패럴 총 소매시장 규모(남성복·양품, 여성복·일용잡화, 유아·아동복·일용잡화 계)는 전년비 103.7%인 8조 3,564억 엔으로 3년 연속으로 전년을 웃돌았다.

판매채널별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백화점과 전문점의 회복이 두드러졌다. 행사 등이 재개됨에 따라 입학식이나 성인식 등의 수요가 회복됨으로써 교체와 새로 구입하는 수요가 증가해 실점포에서의 이용이 증가했다. EC(인터넷 통신판매)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급성장한 만큼 그 반동으로 인해 성장률이 둔화됐다. 실점포에서의 구매 수요가 그 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2. 주목 토픽

2023년 어패럴 업계 전체 동향

대기업 어패럴의 2023년 실적 동향을 보면, 코로나19의 데미지로부터 회복해 적극적인 공세로 돌아서는 기업과 데미지로부터 회복하지 못하고 구조개혁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으로 양분되어 있다.

적극적인 공세로 돌아서는 기업은 신브랜드와 신업태를 개발 및 선보이고 있다. 새 브랜드는 기존 브랜드보다 높은 가격대의 브랜드가 많다. 코로나19 사태로 주춤했던 고품질 패션 수요를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로나19 사태의 피해로부터 회복하지 못한 기업은 경영효율 향상과 비채산 브랜드 철수 등을 중심으로 한 구조개혁을 진행하고 있다.

고객에 대한 가격 소구력이 있는 어패럴 테넌트에 밀려 구조개혁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은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출점을 줄이고 있으며, 공세로 돌아서는 기업은 가격대가 높은 신브랜드나 신업태 테넌트 출점의 호기라고 보고 출점을 강화하고 있다.

3. 장래 전망

일본의 어패럴 총 소매시장 규모(남성복·일용잡화, 여성복·일용잡화, 유아·아동복·일용잡화 계)는 2025년경까지는 코로나19 사태 전의 시장규모를 향해서 회복세로 추이할 전망이다.

어패럴 시장은 장기적으로는 저출산 고령화·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아 완만하게 감소하겠지만, 현재는 원재료비 급등과 물류비 증가, 인건비 상승에 의해서 판매단가가 상승세이기 때문에 침체 폭은 당분간 억제될 전망이다. 추가 상승 가능성은 노동임금의 상승세가 계속돼 1인당 의류 지출금액 감소에 제동이 걸려, 가계의 의류 지출액이 증가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해당목차 바로가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