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1일 금요일

최고물류책임자(CLO)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야노경제연구소

 최고물류책임자(CLO)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

【자료체재】

자료명:「일본 국내외 사례연구로 본 CLO(최고물류책임자) 전략」

발간일:2024년 9월 30일

체 재:A4판 178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4년 7월~9월

2. 조사대상: 일본의 물류 관련 유력 사업자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및 문헌조사 병용

<시장에 포함된 상품 및 서비스>

최고물류책임자(CLO)

◆화주 기업에서의 최고물류책임자의 선임에 의해 물류사업자 단독으로는 대응할 수 없었던 다양한 시책이 실시되어 물류의 효율화가 진행될 전망

1. 조사결과 개요

사회 인프라인 물류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2024년 5월에 「유통 업무의 종합화 및 효율화 촉진에 관한 법률 및 화물자동차운송사업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2024년 법률 제23호)이 공포됐다. 동시에 「유통업무의 종합화 및 효율화 촉진에 관한 법률」이라는 명칭은 「물자 유통의 효율화에 관한 법률」로 변경됐다.

「물자 유통의 효율화에 관한 법률」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자(화주 기업이나 물류 사업자)를 특정 사업자로서 지정해, 중장기 계획 작성과 정기보고 등을 의무화하는 것 외에 특정 사업자 중 화주 기업에 대해서는 최고물류책임자(CLO: Chief Logistics Officer) 선임이 의무화됐다. 이에 따라 특정 사업자에 해당하는 화주 기업에서는 지금까지 이상으로 자사 제품의 물류를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컨트롤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최고물류책임자가 설치됨으로써 물류 사업자 단독으로는 대응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시책이 실시되어 물류의 효율화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고물류책임자는 자사(화주 기업)가 지속 가능한 물류를 구축할 수 있도록 물류 사업자와 대화하면서 자사와 물류 사업자에게 모두 메리트가 있는 대응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주목 토픽

일본과 미국의 최고물류책임자(CLO)의 차이

일본과 미국에서 최고물류책임자(CLO: Chief Logistics Officer)를 설치하는 배경에는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는 자사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 향상 혹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공급망 강화를 내걸고 있는 기업이 많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CO2 배출량 감축, 중국을 비롯한 대외정책 등이지만, 이들을 확실히 실행하기 위해서 CLO와 CSCO(Chief Supply Chain Officer)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일본에서는 사회 인프라인 물류의 지속적인 성장을 목적으로 해, 물류의 효율화와 상관행의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역 대기·하역 등 시간의 단축과 적재율 향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확실히 실행하기 위해서 특정 사업자의 화주 기업에서 최고물류책임자의 설치가 의무화됐다.

미국 기업이 처한 상황과 일본 기업이 처한 상황은 다르고, 국토의 넓이나 상습관 등의 차이로 물류 니즈도 다르다.

만일 미국 기업에서의 CLO나 CSCO의 역할을 참고로 한다면, 최고물류책임자는 자사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서플라이체인 전략의 일환으로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류의 효율화와 공급망 재검토를 진행함에 있어서 자사의 사업전략과 공급망의 재검토가 불가결해, 이것은 일본 기업의 최고물류책임자의 중요한 직무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해당목차 바로가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