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시장조사보고서>2024년판 용기 시장의 전망과 전략(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1400 / A4 417 / 2024. 12. 26
여름철 폭염과 잇단 식품, 음료 가격 인상, 또한 환경 대응 관련 니즈의 확대 등 식품·음료 용기 시장은 매년 변화하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음료용기(PET병, 알루미늄캔, 스틸캔, 종이카톤, 종이컵, 유리병), 식품용 플라스틱 경량용기(PSP, A-PET, PPF, OPS, 기타) 및 PET병 재활용에 대해서 각 메이커의 제품의 특징과 신제품, 또 재활용·환경 대응에 관한 대처 등에 대해서 취재를 실시해 최신 마켓의 동향에 대해서 분석·고찰을 더해 리포트를 작성했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용기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 시책을 철저히 조사함과 동시에 각종 용기의 내용별, 채널별 등 수요 동향을 밝힌다.
조사대상: 플라스틱 경량용기(PSP용기, A-PET용기, OPS용기, PP필러용기 등), PET병, 금속캔(알루미늄캔, 스틸캔), 종이용기(종이박스, 종이컵, 종이용기), 유리병
조사방법: 당사 전문조사원이 직접 면접취재를 기반으로 문헌조사를 병용했다.
조사·분석기간: 2024년 11월 1일~2024년 12 월 23일
◆자료 포인트
• 성숙은 반드시 정체가 아니다, 용기의 고정화·과점화의 붕괴와 미지의 영역에 대한 확실한 포석으로 성숙의 끝에 있는 성장을 잡아라!
• 소비자의 절약지향으로 내용물 메이커의 사업 전개도 보수화의 경향, 2024년 용기 시장은 플러스 마이너스 양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고 잠잠한 상태로
• 브랜드 오너, 유통수익 확보가 우선인 가운데, 플라스틱 대체, 재활용 등 용기에 지속 가능한 재료 사용은 '무리 없는 범위'로 톤 다운
• 특정 용기로 고정화·과점화된 곳에서 새로운 용기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생수와 차계 음료의 일각을 성숙 시장 성장의 발판으로
• 도료, 농약·약품 등 기존 용도의 범주를 초월한 새로운 분야에서의 전개도 시작
리서치 내용
제1장 용기시장의 전망과 전략
성숙이 반드시 정체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의 고정화·과점화의 붕괴와
미지의 영역에 대한 확실한 포석으로 성숙의 끝에 있는 성장을 잡아라!
소비자의 절약지향으로 내용물 메이커의 사업 전개도 보수화 경향
2024년 용기시장은 플러스 마이너스 양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고 잠잠한 상태로
(표) 최근 주요 용기의 시장규모 추이(2024년대 전년대비 증감 전망 순)
브랜드 오너, 유통수익 확보가 우선인 가운데 플라스틱 대체, 재활용 등
용기에 지속 가능한 재료의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없는 범위'로 톤 다운
특정 용기로 고정화·과점화된 곳에서 새로운 용기의 성장 가능
생수와 차계 음료의 일각을 성숙 시장 성장의 발판으로
(표) 생수 용기별 생산수량 추이
(표) 2023년 차계 음료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용기별 구성비
(표) 2023년 청량음료 용기별 생산량
도료, 농약·약품 등 기존 용도의 범주를 초월한 새로운 분야에서의 전개도 시작
제2장 플라스틱 경량용기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1] PSP용기 시장 전망
HIPS 용기에서 저발포 PSP용기로 대체가 본격화
2024년 PSP용기 시장은 플러스 성장세로 전환될 전망
레인지업 메뉴의 다양화에 따라 내열 PSP용기의 수요도 견조 추이
(표) PSP용기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PSP용기 메이커의 원반 사용 상황에서 본 점유율 추이
낫토 용기는 안정적으로 추이, 컵라면 용기는 회복세로 전환*
[2] PP계 경량용기 시장 전망
(1) PPF용기, 저발포PS/PP용기
소재간 경쟁의 상태화와 함께 편의점용이 저조 추이
PPF 용기 시장은 마이너스 성장이 계속
(표) PPF 용기 시장규모 추이
바이오매스 수준을 억제한 환경 대응 용기가 시장의 트렌드로
냉동식품용 수요 유입을 목표로 내한용기 개발이 활발화
(표) 주요 메이커 PP계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용기
(그림·표) PPF 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2) 발포PP용기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 니즈가 높아졌지만
내열 PSP용기와의 경합으로 시장은 축소 경향
(표) 발포 PP용기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발포 PP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3) 투명PP용기
종이용기 뚜껑, 내부접시 수요 호조
2024년은 전년 대비 3%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표) 투명 PP용기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투명 PP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3] PET계 경량 용기 시장의 전망
전년에 이어 여름철 폭염이 PET계 용기의 수요를 끌어올려
2024년 시장규모 전년대비 1% 증가 전망
(표) PET계 용기 시장규모 추이
재생 PET 용기 시장에서는 FP Corp가 독주 태세를 굳히다
RISU PACK은 '바이오+α'의 고부가가치 용기 개발을 활발화
(그림·표) PET계 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친환경 OPET용기는 감합푸드팩으로서 수요가 안정 추이
[4] PS계 경량용기 시장 전망
(1) OPS 용기
감합푸드팩이 호조를 유지하고 일반 푸드팩이 회복세로 전환되었지만
다른 소재로의 전환으로 뚜껑 수요가 부진하여 시장은 마이너스 성장이 계속
(표) OPS 용기 시장규모 추이
식물 유래 원료 배합, 매스 밸런스 방식을 통한 친환경 제품 개발 진전*
(그림·표) OPS 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2) PS계 솔리드 용기(진공·압공)
비발포에서 발포로의 흐름이 강해져 HIPS 용기 시장은 저조 추이
PS계 바이오매스 용기도 시장 활성화의 트리거가 되지 않아
(표) PS계 솔리드 용기 시장규모 추이
(표) 주요 메이커 PS계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용기
(그림·표) PS계 솔리드 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주식회사 FP Corp
그룹의 성장전략을 바탕으로
오리지널 제품 강화, 신소재 개발, 신 마켓 획득 등 추진
환경부하 저감으로 이어지는 제품군의 판매 호조
2025년 3월기 연결 매출액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
친환경 트레이와 저발포 PSP 소재의 통 시리즈가 견인차가 되어
PSP용기의 출하량은 플러스로 전환
더욱 높아진 환경의식과 여름철 폭염에 힘입어 친환경 APET용기는 크게 신장
내한 PPiP-탈크는 냉동식품 용기용으로 2025년 봄 본격 채용응 예정
2024년 4월 비식품 분야로 확장하는 OPP 시트 개발 성공
점포를 발착점으로 한 수평 재활용 '스토어 to 스토어’가 계속 확대
2024년 11월에는 색과 무늬가 있는 PSP 트레이의 수평 재활용에 시동
CP CHEMICAL 주식회사
온리원의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감동을 창출하는 기업이 목표
2024년에 기업의 사회적 존재의의로 '미래를, 웃는 얼굴로, 포장'을 책정
2024년 11월 수도권 공장 개설, 영업·물류 기능을 병설하는 1대거점 본격 가동
PSP 소재 스시·사시미용, 내열 PSP용기 수요가 견조
BF 시리즈는 주춤했지만 CBF·CZ 시리즈가 수요를 뒷받침
A-PET 뚜껑 '클리어 엣지®'는 호조를 유지
OPS 용기에서는 감합푸드팩 'KLS'가 수요를 견인
생분해성 바이오폴리머 용기 개발, 케미컬 재활용 실증에 대한 협력 등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대응을 가속화
RISU PACK 주식회사
환경부하 저감을 비롯한 다양한 과제 해결을 위해
기술력·발상력을 활용한 이노베이션을 창출
소비자의 절약 지향이 계속되었지만 2025년 3월기는 증수 증익을 전망
2024년 4월 간사이 공장이 본격 가동, 생산능력을 기존 대비 20% 상승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9소재를 사용한 용기는 5,000개 이상
PET계 용기에서는 수량 조정 가능한 '바이오리듀'가 수요를 뒷받침
유리공예의 빛을 재현한 '신데렐라 아트'로 새로운 먹거리 체험을 창조
PPF 용기는 2023년도 말에 바이오화 완료
2024년은 신제품 '바이오 핫 리듀', '바이오 마운트'가 호조 출발
PSP용기와 HIPS용기에서는 스시·사시미용기 신제품을 시장에 투입
40년에 걸친 가공 벤더용 식품 용기의 개발 실적을 활용하여
인력부족 해소에 공헌하는 로봇화 대응 용기 개발에 성공
중앙화학 주식회사
환경 대응이 뛰어난 제품군을 제공할 수 있는 선두 주자가 목표
중기 경영계획 ‘Challenge 2028’ 출범
사업 기반 강화, 환경 대응 제품의 확충, 재활용 강화에 주력
녹말/PP 식물유래 소재 CST 개발 성공
바이오 내열 PSP제 '면용 그릇'의 판매도 시작
PP계열에서는 바이오 CT, 내한 CT를 이용한 용기의 수요가 높아지다
PSP 소재에서는 인력부족 해소에 공헌하는 기능성 용기 제안을 강화
내열 PSP용기에서는 키높은 원핸드 컵 타입을 출시
독자적인 재활용 3원칙을 내걸고 플라스틱의 자원 순환에 대응
덴카폴리머 주식회사
친환경 용기의 확충을 통한 서큘러 이코노미 활동 추진
2024년 고이, 가토리, 사쿠라 등 3공장에서 ISCC PLUS 인증 획득
일반 푸드팩, 감합푸드팩, 덮밥·면용 뚜껑 수요가 확대경향
2024년 OPS 용기 출하량은 전년 대비 플러스로 전환
고도한 감합기술을 활용하여 국물샘방지 기능을 추구
내열 PSP용기 "유메델리 LS", PPF 용기 "D저니"가 호조 추이
아테나공업 주식회사
높은 창조력과 독자적인 성형 기술을 구사하여 환경 부하 저감에 공헌
종이컵 용기 '까르띠컵'은 순조롭게 판매량을 늘린다
2025년에는 독자 기술을 적용한 내유 등급의 출시를 계획
PSP용기는 컵 야키소바용 용기로 채용 확장
주식회사 GINPO PACK
고도의 성형 기술을 구사한
친환경 고기능 패키지의 개발·판매확대를 가속화
발포 PP용기 '팔파인'은 우수한 단열성, 보온성이 평가되어
파스타와 레인지 면용 수요를 확보
OPS 소재에서는 트레이의 박육화가 진전되었지만 뚜껑 수요가 견조
2024년 매스 밸런스 방식 OPS 용기 제품화에 성공
제3장 PET병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PET병 시장 전망
소형 보틀은 여름철에 전반의 수요는 호조였지만, 따뜻한 겨울의 영향으로 가을 이후는 부진한 경향
대형은 가격 인상에 의한 수요 감소를 가정내 비축용이 보완해 2024년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전망
(표) PET병 출하량 추이(음료용: 수량기준)
브랜드 오너, 패커 무균충전라인 확충으로 PF 수요 증가
(표) 외판용 프리폼 수요량 추이
(그림) PET병 수요량에서 차지하는 인라인 블로우용 PF 구성비
(표) 메이커별 프리폼 및 PET병 시장 추이
성형 보틀에서는 요시노공업소가 점유율 56%를 확보, 특정 소매업용 제조상품에 대한 대응력에 강점
기능성과 의장성을 양립하는 DNP의 콤플렉스보틀®은 새로운 용도 개발을 추진
배리어보틀은 가온 판매 보틀의 B to B화로
HOKKAICAN의 ACTIS-Lite를 비롯한 DLC증착보틀이 비교적 견조
(표) 배리어 PET병 개요 및 출하량 추이
(표) 타입별 배리어 PET병 시장 추이
2023년도 B to B 재활용량은 21.5만t, 대부분 주요 브랜드 오너에서 사용
일본코카콜라, 산토리는 전국청량음료연합회 B to B화 목표를 앞당겨 달성
(표) 주요 브랜드 오너 등에 의한 PET병의 지속가능화 진척 상황
(표) 보틀용 PET 수지 수요 실적 추이
(표) 주요 브랜드 오너별 PET병 사용 개수 및 조달처
(그림·표) 다 사용한 PET병의 순환형 재활용 보틀 to 보틀 (B to B)
교에이산업그룹, FIGP와 함께 TRS가 B to B용 rPET 공급을 본격화
3사의 rPET 공급능력은 345,000t/년에 달함
(표) 주요 메이커의 재생 PET 수지(B to B)의 공급 능력
(표) B to B 재활용 주요기업 (2024년 말 시점)
용기포장재활용법의 지정 PET병 낙찰가 급등으로 rPET 가격도 급상승
기업, 지자체와 브랜드 오너, 재활용업자의 자율협정 확대
(그림·표) PET병 유상분 낙찰 단가(엔/t)
(표) PET병용 수지 가격
(표) 다 사용한 PET병에서 B to B의 대응 예(2022년 이후)
(표) 다 사용한 PET병에서 B to B의 대응 예 지자체의 대응(2022년 이후)
(표) 주요 브랜드 오너의 B to B 대응 상황
(표) 주요 메이커의 재생 PET 수지(B to B) 공급 능력
(그림·표) PET병 낙찰 수량(t)
(그림·표) 지정 PET병 회수율 추이
(그림·표) 일본 재자원화와 해외 재자원화
(그림·표) PET 부스러기 수출량 추이 (2016~2024년)
(그림·표) PET 부스러기 수출량 추이 (2024년 1~10월)
Toyo Seikan 주식회사
사용자의 부담 경감으로 이어지는 충전 시스템 제안을 추진
B to Br PET 및 식물 유래 원료 채택 등 지속가능한 니즈에도 대응
2023년, 2024년 전망 모두 PF·PET병 출하량은 연간 3% 내외의 성장률로 추이
주력인 PF에서는 독자적인 충전 시스템과 조합한 제안으로 판매량 확대로 이어지다
성형 보틀은 특징 있는 고부가가치 보틀을 제안
HOKKAICAN 주식회사
B to B rPET 사용 비율은 성형 보틀의 80% 미만, PF의 55~56%까지 확대
인라인 무균충전 수요 확대에 대응하여 지요다공장의 무균PF 라인을 증강
2년 연속 크게 성장한 PF는 2024년 기후 불순의 영향을 받아 보합세 유지 전망
성형 보틀은 PB 브랜드의 rPET 사용 확대로 2024년은 플러스 성장 예측
전국청량음료연합회의 B to B화 목표 선언에 따라 PF의 rPET화가 급속히 진전
2023년 크게 성장한 ‘밀봉 eco보틀’, 2024년은 소폭증가 전망
DNP 주식회사
음료용 PF는 2024년에 rPET 사용 비율이 업계 수준까지 확대될 전망
콤플렉스보틀®은 디자인과 기능을 모두 갖춘 개발에 주력
각 브랜드 오너의 B to B 진전에 맞추어 rPET 사용비율 확대
2024년도에는 PF 판매량(중량기준)의 30% 이상이 rPET 사용품이 될 전망
콤플렉스보틀®은 유리병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디자인에 대한 평가가 높아진다
외장 필름의 다층화로 기능과 디자인 양립
교에이산업 주식회사
자판기 옆에서 회수된 PET병을 그룹 내에서 중간처리
베일, 플레이크, 펠릿의 클로즈드 재활용 실현
타사의 추종을 불허하는 이물질 및 오염의 철저한 제거와 IV 유지 기술을 배경으로 한
10년 이상에 걸친 B to B의 실적이 브랜드 오너에서 높이 평가
2024년 봄에 능력증강한 라인은 동서거점 모두 풀가동
F to P 프리폼 물류센터 개설로 수송 효율화 실현
자판기 옆에서 회수된 용기의 중간처리를 하는 그룹사 교에이에콜로지가 조업을 개시
베일로 일관된 클로즈드 재활용 시스템 구축
PET병 등급인 rPET 'MR-PET'의 판매량 성장이 계속
섬유, 트레이, 필름 등 보틀 외 용도의 등급도 전개
Toyotsu Pet Recycle Systems 주식회사
철저한 이물 제거와 세척의 반복으로 사업계 수거병에서
고품질 rPET를 재생하는 B to B 수평 재활용 실현
동서 대도시권에 인접한 지리적 가치로 베일 조달에 우위성을 유지
사업계 수거병은 250m 처리라인에서 이물질 및 오염물을 철저히 제거
2024년 5월에는 자치체계 수거병 전용 처리라인 가동을 시작
UTSUMI RECYCLE SYSTEMS 주식회사
수익확보를 목표로 생산품목과 설비의 최적화 추진
2024년 센난공장 C-PET, 미에공장 트레이 to 트레이가 본격 지도
린쿠공장의 B to B 라인은 사용자 인증 획득
B to B는 일본 국내외 식품위생 관련 인증을 획득한 높은 안전성 및 품질을 배경으로
사업계 회수 병의 활용을 추진
Nippon Closures 주식회사(캡 to 캡 수평 재활용)
PET병 뚜껑의 수평 재활용을 위한 컨소시엄에 참가
캡메이커 입장에서 재생캡의 성능, 품질, 안전성 향상에 공헌
캡 to 캡 재활용 수지의 식품위생법 PL 리스트 기재를 목표로
고품질로 안전성이 높은 회수 방법·분리 방법의 검토를 진행
제4장 종이용기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1. 액체 카톤 팩 시장 전망
엔저로 인한 원지 등의 수입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물류, 에너지, 노무비 등
모든 비용 상승이 계속되는 가운데 종이카톤 메이커의 가격 수정 움직임이 계속됨
(표) 2022년 이후 이론 주요 종이 메이커의 가격 수정 동향(2024년 12월 20일 시점)
오지HD의 IOP에서는 일본산 원지 사용 비율이 2024년 67~68%까지 상승
현재 상황은 이보다 높은 원지 일본산화 실적은 없지만, 물밑 검토가 진행될 가능성도
퍼스널 사이즈로 게이블 톱, 브릭 타입 외의 새로운 형상 용기 투입 확대
리캡기능, 무균충전, 고형분 대응 등으로 종이카톤 음료의 새로운 카테고리 개발에 공헌
(그림) 종이카톤 시장규모 추이(개수 기준)
캡형 카톤, 청량음료는 과즙음료 축소로 2023년, 2024년 전망 모두 마이너스 성장
알코올용은 보합세 유지에서 소폭감소로 추이가 계속
(그림·표) 캡형 종이 카톤 시장규모 추이
학교급식용 우유용 카톤은 빨대리스화, 바이오매스화 등을 통한
환경교육 지원 툴로서의 역할도 확립
(표) 환경을 배려한 학교급식용 우유용 종이카톤
(표) 종이카톤 메이커의 학교급식용 우유용 친환경 카톤 판매 동향 (2024년 전망)
플라스틱 보틀 대체 종이카톤, TOPPAN '큐브팩'은 도료용으로 채용 시작
NIPPON PAPER INDUSTRIES의 'SPOPS®', 한국 화장품 시장에서 도입 확대에 기대
우유·가공유는 소폭감소 경향이 계속되지만 수요 대폭감소에는 이르지 않는다
(표) 종이카톤 메이커 출하량 추이(원지 기준)
(표) 종이카톤 메이커 출하량 추이(개수 기준)
(표) 내용물별 종이카톤 시장 추이
(표) 종이카톤 메이커 출하량 추이(우유·가공유)
청량음료는 과즙부족과 Glico의 시스템 트러블로 칠드의 야채·과즙음료용이 축소될 전망
생수는 작지만 높은 신장률로 새로운 카테고리로 기대된다
(표) 종이카톤 메이커 출하량 추이 (기타 청량음료)
(표) 종이팩 생수(일본생산)
알코올 음료용은 소비자층이 고정되어 보합세 유지에서 소폭감소를 유지
(표) 종이카톤 메이커 출하량 추이(알코올)
「종이인 것」만으로는 「지속가능」이라고 할 수 없고
새로운 바이오매스화와 재활용 등을 통한 환경가치의 호소가 과제
(표) 내용물별 종이카톤 시장 추이(2021년도)
(표) 내용물별 종이카톤 시장 추이(2022년도)
(표) 내용물별 종이카톤 시장 추이(2023년도)
(표) 내용물별 종이카톤 시장 추이(2024년도 전망)
(표) 캡형 종이카톤 우유의 개요
(표) 종이카톤 메이커별 캡형 종이카톤 전개 상황
(표) 캡형 신형 종이용기 채용사례(일부)
NIPPON PAPER INDUSTRIES 주식회사
신형 카톤·신형 충전기 도입, 한국시장에서 SPOPS® 전개 등
적극적인 수요개척 추진
종이팩 사업 각 거점에서의 CoC 인증 획득, 수성 잉크 사용 플렉소 인쇄 대응 등
제조부터 판매까지 환경 대응, 안전성 향상에 관한 니즈에 대응
57mm 각의 슬림한 500ml 사이즈 종이카톤 Pure-Pak® Sense MINI를 투입
앞문형 쇼케이스 냉장고에 최적화된 형상, 퍼스널 사이즈로 호평을 받음
새로운 콘셉트의 캡형 카톤 NSATOM®은 고점도·고형분에 대한 대응력과
잔액이 없는 형상을 평가받아 2025년 봄 발매 예정인 청량음료로 채용을 획득
빨대리스의 종이카톤 School POP®는 22도도부현에서 채용을 획득
학교급식용 우유 시장 점유율 1/3 규모로 성장
CO2 배출 감소와 자원 절약화에 기여하는 경량 종이카톤 Litter Lyte®는 우유용으로 채용되기 시작
2024년은 과즙가격 급등과 유저의 시스템 장애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마이너스 전망
플라스틱병+리필 파우치를 대체할 수 있는 종이카톤 사용의 교체 용기 SPOPS®
한국시장 진출로 글로벌 인지도 향상에 기대
'UPN-SEC07S' 'UP-FUJI-LA82' 등 신규 충전기 잇따라 투입
Hokuetsu Package 주식회사
수익 향상에 대한 대응과 함께 탄소중립으로 이어지는 제품 개발로
패키지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추구
2022년 이후의 가격 수정 효과로 매출액은 계속 플러스 성장
2024년 카톤 출하량은 차계 음료의 마이너스를 우유의 증가가 보완하여 전년대비 보합세를 유지
배리어, 차광, 펄 등 고부가가치 카톤은 프리미엄 내용물로 계속 채용
일본국내 독점 판매의 밀폐·배리어성 식품용 종이용기 Halopack®는 조기 상업화가 목표
ISHIZUKA-OJI PAPER PACKAGING
2024년에는 배리어 보드, 알루미늄 보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원지로 일본산화 실현
2023년도는 가격 조정과 함께 충전기 판매로 매출액은 전년대비 대폭 향상 달성
2024년도는 전년 대비 보합세 유지를 전망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종이카톤 판매량은 보합세 유지에서 소폭감소를 전망
일본산 원지 사용비율은 2024년도에 67~68%, 최종적으로 70% 정도의 일본산화가 목표
과즙음료·청량음료의 축소를 우유·가공유가 커버
빨대리스 「ECO BEAK®」의 채용 확대, 2024년도에는 학교급식용 우유용 판매량의 약 40%로
캡형 'SPOUT-PAK', 배리어 카톤 모두 청량음료 축소로 판매량은 늘지 않음
2023년 6월 SBT 인증 획득, 2024년 3월 에코레일마크 획득 등
환경대응에 대한 대응도 계속 추진
TOPPAN 주식회사
다양화되는 니즈에 부합하는 고부가가치 액체 종이용기를 제안
새로운 용도·내용물 개척도 적극적으로 추진
환경 대응과 편리성을 양립시킨 종이 용기 '큐브팩'은 채용 아이템을 확대
2024년에는 수성 도료 용기로서의 채용도 시작
배리어 카톤 'EP-PAK'는 알코올 음료의 시장 축소로 보합세 요지~소폭감소로 추이
한편 식용유·조미료 등 식품용은 순조로운 성장이 계속
카트칸®은 주력인 EC와 함께 선물, 소매, B to B 등 판로 다양화를 추진
DNP 주식회사
배리어성을 가진 LL카톤은 식품·음료 외에도 내용물의 폭을 확대
SIG 무균충전 시스템은 'Smile Small' 가동 개시로 볼륨 확대
사케·소주 소비량 줄어 알코올용 종이카톤 출하량은 소폭감소 경향
식용유 채용을 발판으로 식품용 채용 증가에 기대
그동안 종이용기 사용이 어려웠던 자극이 강한 내용물에 대응하는 종이카톤 개발
일용품, 약품, 농약 등에서 용기의 종이화를 위한 제안을 추진
SIG 무균충전 시스템은 "Smile Small"이 CVS용 상품으로 채택되어 볼륨을 확대
2. 종이컵 시장 전망
시장성숙과 저출산으로 2023년도 이후의 시장규모는 보합세 유지에서 소폭감소로 추이가 계속될 전망
1위인 TOKAN KOGYO가 45%를 넘는 점유율 확보로 2위 이하를 크게 따돌리다
(표) 용도별 종이컵 출하 동향
(표) 종이컵 메이커 출하량 추이
(표) 음료용 종이컵 출하 동향
2024년도는 냉과와 국·컵라면이 신장하는 한편 디저트, 기타가 축소
요구르트와 낫토는 전년 수준을 전망
(표) 요구르트용 종이컵 출하 동향
(표) 스프·컵 면용 종이컵 출하 동향
(표) 냉과용 종이컵 출하 동향
(표) 낫토용 종이컵 출하 동향
(표) 디저트류용 종이컵 출하 동향
(표) 식품용 기타용 종이컵 출하 동향
공장 파지의 재활용과 함께 다 사용한 종이컵의 회수·재활용이 시동
용기 메이커와 제지가 수평 재활용, 업사이클링을 위한 협업을 시작
(표) 제지 메이커가 종이컵 회수·재활용에 대한 대응
(표) 종이컵 메이커 용도별 출하량(2021년도)
(표) 종이컵 메이커 용도별 출하량(2022년도)
(표) 종이컵 메이커 용도별 출하량(2023년도)
(표) 종이컵 메이커 용도별 출하량(2024년도 전망)
TOKAN KOGYO 주식회사
기능성 향상, 환경 대응 등 유저의 이점으로 이어지는
부가가치가 높은 종이컵·뚜껑재 개발·제안 추진
시즈오카공장의 라인 리뉴얼과 DX 도입, 고마키공장의 매스 밸런스 인증 등
효율화 및 환경 대응을 위한 생산 체제 구축
종이컵 판매량, 2023년도는 음료용, 식품용 모두 플러스 성장
2024년도는 음료용이 소폭증가, 식품용이 보합세 유지로 전체적으로는 소폭증가를 전망
식품용 컵은 소비자의 저가격 지향으로 도시락·반찬 용기의 종이화 추세는 둔화했지만
일본산 크라프트지 사용품과 내유성이 높은 파스타 용기 등 사용이 편리한 제품을 계속 제안
2024년 PACKAGING CONTEST 포장기술상을 수상한 컵 뚜껑 '립 푸쉬 리드'
감합성이 높은 'Tokan PA-Lid', 리프트업 리드 등 컵 뚜껑재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2024년 1월부터 ‘Re-CUP WASHER’ 본기의 판매·렌탈·대여를 개시
물류의 모달시프트 등 환경문제·물류문제 해결을 위한 시책에도 주력
주식회사 DIXIE JAPAN
'환경'과 '부가가치' 양방향에서 고객 니즈를 충족하는 제품 개발 추진
종이컵 기술과 설계를 응용한 종이 육묘 포트 '펄포' 개발
식품, 음료에 그치지 않는 새로운 용도·시장 개척에 주력
여름철 콜드 음료 수요를 확보하는 친환경 종이컵 'LOHAS' 투입
3사이즈 구경을 통일함으로써 리드 공통화 및 소롯트 대응 등 사용성 향상을 실현
2023년, 2024년 전망 모두 식품·음료 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 부진의 영향으로 판매량은 소폭감소로 추이
폐 종이컵의 재활용 실현을 위해 개발된 세척·압축감용기 'CP PAKUN'은
더욱 콤팩트하고 사용하기 쉬운 버전 3(CP-3)을 투입
DNP 주식회사
환경 대응과 컵의 성능·부가가치 양면에서 유저의 상품 가치 향상에 기여
단열컵 성장이 전체를 견인하며 2024년 종이컵 판매량은 전년 대비 2~3% 플러스를 전망
'DNP 단열 종이컵 HI-CUP 전자레인지 대응'은 냉동 수프 외에
전자레인지 조리 반찬 등에서 채용 아이템을 증가
3. 종이용기시장 전망
23년 종이·판지 제품 출하 수량은 감소
가격인상 효과로 출하금액은 증가경향
(그림) 포장 자재·용기 출하 금액·수량 추이 (2014~2023년)
(표) 2019년~2023년 포장 자재·용기 출하 수량 원재료별 통괄표
(표) 2019년~2023년 포장 자재·용기 출하 금액 원재료별 통괄표
23년도 종이용기용 판지 일본국내 출하 3.5% 감소
소비 심리 저하 영향으로 감소세로 전환
(그림) 일본 종이용기용 판지 출하량 수요 분야별 구성비(월평균·2022년)
【수요 분야별 동향】
<식품 분야>
(표) 과자 추정 생산 수량 및 금액
(그림) 방일 외국인 여행 소비액과 여행자 수의 추이
(표) 냉동식품의 일본국내 생산량
(표) 즉석면의 생산금액 추이
(그림) 과자류, 화장품·향수, 의약품 인바운드 소비액(2019년과의 비교)
(그림) 과자류, 화장품·향수, 의약품 인바운드 소비액(국적별·2023년)
<음료품 분야>
(표) 청량음료 품목별 생산량 추이
(표) 2023년 청량음료 생산량·생산자 판매금액
<의약품 분야>
(표) 의약품 생산금액 추이
<화장품 분야>
(표) 화장품 생산·출하·재고 통계
<비누·세제 분야>
(표) 세정제 등의 가정용 제품 판매 실적 전년 대비 표
【종이용기 메이커 동향】
1. Nippon Tokan Package
2. Furubayashi Shiko
(표) 수요업계별 투입량 조사결과(총괄)
(표) 지기용 판지 수요업계별 투입량 및 구성비 추이(월평균)
(표) 각 수요업계의 종이용기용 판지 품종별 구성비
제5장 알루미늄캔, 스틸캔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1. 알루미늄캔, 스틸캔 시장 전망
2024년 음료용 금속캔 시장은 알루미늄캔이 전년대비 99.1%, 스틸캔은 동 94.8%
시장이 성숙되어 전체 수량에서는 계속 소폭감소 경향
(그림·표) 음료용 금속캔 시장 추이
(표) 음료캔 (알루미늄+스틸)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그림) 음료캔 메이커별 출하 점유율(2022년)
(그림) 음료캔 메이커별 출하 점유율(2023년)
(그림) 음료캔 메이커별 출하 점유율(2024년 전망)
2) 알루미늄캔 시장 전망
2024년 알루미늄캔 시장은 '스마트드링크(스마트하게 선택하는 음주방식)'로 알코올 음료가 마이너스,
탄산음료는 전년 수준으로 비탄산은 생수 수요의 유입에 의한
내용물 카테고리의 확대가 주목되다
(그림·표) 내용물별 알루미늄캔 시장 추이
엔저 진행으로 2024년 일본 알루미늄 지금(地金) 시세는 LME 최고치를 기록한 2022년 수준으로
(그림) LME의 알루미늄 가격(MONTH AVERAGE)
(그림) 알루미늄 지금 가격 시세 (닛케이 평균)
SOT캔통에 그치지 않고 보틀통, SOT캔 뚜껑,
보틀캔 캡에 대한 재활용재를 채용이 진행
캔의 게이지 다운에서는 Toyo Seikan가 양압캔으로 '최경량'을 실현
(표) 알루미늄캔 재활용 추이
ALTEMIRA 자회사 Hanacans의 슬릭캔, DAIWA CAN의 뉴보틀캔 등
독자적인 라인업으로 해외 시장에서의 수요 확보를 추진
대형 맥주회사가 알코올의 '천천히 마시는 방법'을 제창
알코올 음료 수요 자체의 축소로 동용도용 알루미늄캔도 다운트렌드로 추이
(표) 알코올 음료용 알루미늄캔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청량음료, 비탄산은 생수를 발판으로 새로운 내용물 개발에 기대
탄산음료는 알코올 테이스트용을 많이 전개하는 ALTEMIRA의 캔이 높은 점유율을 확보
(표) 비탄산음료용 알루미늄캔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표) 탄산음료용 알루미늄캔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표) 알루미늄캔 메이커 내용물별 출하량 추이
알루미늄 보틀캔은 커피음료, 과즙음료, RTD에서 마이너스가 계속되었지만
탈플라스틱, 리씰링성, 보존성이 평가되어 생수에서 채용 진행
(표) 보틀캔 시장규모 및 메이커 출하량 추이
3. 스틸캔 시장 전망
레토르트 대응, 고내구성을 활용, 청량음료와 식품의 중간 내용물로 일정 수요 확보
"무엇이든, 몇 번이든 재활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용기로 어필하는 움직임도
(그림·표) 음료용 스틸캔 시장 추이
(표) 음료용 스틸캔 메이커 출하량 추이
(그림·표) 스틸캔 재자원화율 추이
Toyo Seikan주식회사
신지금(地金) 사용량을 줄이는 차세대 뚜껑재 'Eco End', 최경량 캔 등
지속가능한 니즈에 대응하는 제품 개발·투입 추진
2024년도는 알코올과 비탄산이 견조, 탄산도 전년도 수준 유지로 전체적으로는 소폭증가를 전망
특징 있는 제품, 서비스 제공으로 알루미늄캔 사업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품질·성능과 두께를 바꾸지 않고 신지금 사용량을 절감한 뚜껑재 "Eco End" 양산 준비 완료
캔 바닥의 설계 변경으로 박육화와 내압 강도를 옹립한 경량 알루미늄캔은 크기와 종류를 증가
알코올 음료, 커피, 청량 음료 등에서 채용이 진행
스틸캔 출하량은 2023년에 한시적으로 확대되고, SOT캔의 축소,
커피의 알루미늄캔화 등으로 2024년에는 다시 다운트렌드로
ALTEMIRA 주식회사
알루미늄보틀 및 캡에 대한 올 재활용재 사용 및 경량화 등
Scope3에서의 GHG 배출 감소에 기여하는 제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
일본 3거점 및 베트남 Hanacans에서 총 58억캔/년 생산능력을 보유
오야마공장에 도입한 IJP에서의 알루미늄캔 생산은 기술적인 부분에서 실현 가능한 단계
젊은 층의 알코올 기피 현상에 대응하여 무알코올에 최적화된 제품 개발을 추진
알루미늄보틀에 이어 알루미늄캡의 100% 재활용을 실현
기존 캔 대비 37%의 GHG 배출 감소 효과가 평가되어 경금속학회에서 표창
맥주용 최초로 355S캔의 채택이 시작, 스타일리시하고 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젊은 층의 맥주 음용기회 확대에 기대
CAN to CAN 재활용 기술을 응용한 알루미늄 컵 'GREEN-AL CUP®'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를 개시
DAIWA CAN 주식회사
알루미늄캔은 알코올 용이 견조, 스틸캔은 '철'이 뛰어난
재활용 적성, 환경 우위성을 소구하여 새로운 수요 도입을 도모
제조원가 절감과 경비 절감에 대응하여 증수 및 수익 확보 실현
알루미늄 보틀캔이 유럽지역에서 채용 실적이 증가
2024년에는 맥주캔에서 그린 알루미늄을 사용한 알루미늄캔을 공급
2030년까지 Scope 1, 2, 3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을 계속
2024년 알루미늄 보틀캔 출하량 전년 수준 유지
충전기 대여서비스 FRS는 내용물의 다양화를 신규 수요 창출로 연결
스틸캔을 「지속 가능한 소재」로 생각해 발신을 강화,
청량음료, 맥주 등에 대한 제안과 함께 스틸로 만든 이벤트 유스컵을 투입
TAKEUCHI PRESS INDUSTRIES 주식회사
알코올 테이스트 탄산음료와 생수가 견조로 추이되었지만
과즙, 커피, 알코올 음료 축소로 2024년 판매량은 소폭감소될 전망
젊은 층의 알코올 기피 현상으로 알코올 음료에서 탄산음료로 수요가 이동
보틀캔은 환경 대응 의식의 고조에 따라 생수에서 채용을 늘린다
2025년까지 보틀캔으로 1g의 경량화 실시 예정
제6장 유리병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유리병 시장의 전망
2023년 유리병 시장 마이너스 성장
최근 몇 년간 플러스 성장의 반동 외에 유리병 부족이 다른 용기화로의 전환을 촉진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2024년 유리병 시장 출하 대폭 감소
상품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 외에도 조미료 분야에서의 PET용기화, 수출용 물량 감소가 영향
2023~2024년 유리병 수요 5만t 이상 감소
유리병 시황 악화가 전체 유리병 메이커에도 영향
가격인상 전 ‘오로나민C’ 임시 수요가 음료드링크병 시장을 지탱하며 플러스 성장
위스키 수출 부진, 볼륨존 '폰즈·식초'용 출하 감소가 영향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약품·음료)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화장품)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식료·조미료)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우유병)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청주)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맥주)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양잡주)
(표) 유리병 출하량 추이 (음료·물)
(그림) 유리병 용도별 점유율(2020년~2023년)
Nihon Yamamura Glass 주식회사
2024년 음료드링크·음료수병은 업계 수준을 웃돌아 호조를 유지
맥주병은 원웨이 작은 병의 출하 감소가 영향
상품 전반의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가 영향을 주었지만 음료드링크·음료수병은 대폭 출하 증가
TOYO GLASS 식회사
2024년은 약병·음료드링크병용은 플러스 성장했지만,
최근 호조를 유지해 온 위스키병의 출하량이 감소
2024년은 상품 전반의 가격 인상과 수출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가 영향
가격인상 전 임시 수요로 음료드링크용 출하가 호조를 유지
ISHIZUKA GLASS 주식회사
고부가가치 제품 전개의 새로운 시작
ISHIZUKA GLASS는 자신있는 알코올 음료용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전개에 주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