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관련 숍의 지역 마케팅에 관한 조사결과(2024년)
【자료체재】
자료명:「2024년판 스포츠 관련 숍의 지역 마케팅 전략」
발간일:2024년 8월 22일
체 재:A4판 202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3년 7월~2024년 7월
2. 조사대상: 신발 소매기업 3사, 스포츠 숍 대기업 4사
3. 조사방법: 해당 기업의 점포 수 데이터(공개자료), GIS(지도정보시스템)를 이용한 데이터 집계
<신발 소매기업 3사와 스포츠 숍 대기업 4사의 점포 수 조사란>
본 조사의 신발 소매기업 3사 점포 수 조사란, 주식회사 ABC-MART, 주식회사 치요다, 주식회사 스튜디오풋 3사 중 당사에서 확인된 전국 2,670점포(2024년 6월 기준)를 대상으로 한다.
또, 본 조사의 스포츠 숍 대기업 4사 점포 수 조사란, 주식회사 Alpen, XEBIO Holdings 주식회사, 주식회사 메가스포츠, 주식회사 히말라야 4사 중 당사에서 확인된 전국 606점포(2024년 6월 기준)를 대상으로 한다.
모두 해당 신발 소매기업 3사가 운영하는 점포 수 데이터, 해당 스포츠 숍 기업 4사가 운영하는 점포 수 데이터와 GIS(지도정보시스템)를 이용하여, 지역별, 기업별 브랜드별, 업태별 등에 입지환경을 조사하고, 인구 통계를 감안해 정량적으로 고찰했다. 또한 도도부현별 인구총수는 총무성 '2020년 인구조사'에서 인용했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주식회사 ABC-MART에 대해서 ABC-MART, GRAND STAGE외 총 4개 브랜드, 주식회사 치요다에 대해서 도쿄신발유통센터, 슈플라자 외 총 10개 브랜드, 주식회사 GFOOT에 대해서 그린박스, 아스비 외 총 6개 브랜드, 주식회사 Alpen에 대해서 Sports Depo Alpen, 아웃도어즈의 3개 브랜드, XEBIO Holdings 주식회사에 대해서 XEBIO, 빅토리아의 2개 브랜드, 주식회사 메가스포츠에 대해서 Authority, 주식회사 히말라야에 대해서 히말라야를 집계대상 점포로 한다.
◆신발 소매 대기업 3사와 스포츠숍 대기업 4사의 전국 점포 수 조사
~신발 소매 대기업 3사의 점포 수는 2,670개/스포츠 숍 대기업 4사는 606개~
신발 소매 대기업 3사의 전국 점포 수와 점포당 인구
주3. 도도부현별 인구총수는 총무성 '2020년 인구조사'에서 인용
주4. 점포 수는 신발 소매 대기업 3사의 점포 수(2024년 6월 기준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1. 조사결과 개요
본 조사에서 신발 소매 대기업 3사의 점포 수는 2024년 6월 기준으로 2,670개, 일본 인구※에 대한 전국의 점포당 인구는 47,246명이었다. 점포 수는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오사카부 순서로 많고,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또 점포당 인구는 후쿠이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돗토리현, 야마나시현 순으로 많다. 전체적으로 도호쿠의 점포당 인구가 적고 서일본의 점포당 인구가 많다.
또, 본 조사에서의 스포츠 숍 대기업 4사의 점포 수는 2024년 6월 기준으로 606개, 일본 인구※에 대한 전국의 점포당 인구는 208,162명이었다. 점포 수는 아이치현이 가장 많아 47개, 그 다음으로 지바현과 도쿄도가 33개, 홋카이도, 오사카부, 후쿠오카현이 31개 순이었고, 인구 규모와 비교해 홋카이도의 점포 수가 약간 많다.
※출처: 총무성 '2020년 인구조사(도도부현별 인구총수)'
2. 주목 토픽
국내인구 감소에 따라 신발 소매점과 스포츠 용품점의 통폐합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에 의한 실적 침체에 의해서 집객력이 낮은 점포나 점포 운영을 위한 유지·관리비(러닝코스트)가 높고 채산성이 맞지 않는 점포를 중심으로 정리가 진행되어, 입지와 경쟁환경에 따라 브랜드 명칭 혹은 업태를 구분해 사용하는 등 점포 전략이 다양화하고 있다.
또, 다른 소비재 분야와 같이 신발과 스포츠 용품에서도 인터넷 통신판매(EC)의 존재감이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구입한 상품의 점포 수령, 점포 재고의 정보 제공, 인터넷 구입과 점포 구입 시 포인트 서비스의 공통화 등 구입 형태에 관계없이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책(옴니채널 전략)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소비자 수요를 환기하기 위해 실점포에 주력하는 움직임이 있다. 소비자가 사용감이나 착용감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상품도 있어, 각 매장에서는 매장 직원의 상담이나 실물을 보면서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피팅 공간을 늘리는 등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는 매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