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21일 화요일

광기능재료, 고기능재료 - 차세대 고기능 재료 동향 ~광기능 재료~(한국어판)/야노경제연구소

<일본시장보고서> 차세대 고기능 재료 동향 ~광기능 재료~(한국어판)
A4 34p/ 2020년 7월 8일 발간(Yano E-plus 2020년 4월호 게재내용 발췌)
PDF로만 제공

게재내용

1. 차세대 광기능 재료란

2. 차세대 광기능 재료의 개발 동향

3. 주목되는 차세대 광기능 재료
 3-1. 실리콘
 3-2. 형광 재료
 3-3. 광기록 재료
 3-4. 메타머티리얼
 3-5. 포토닉 결정
 3-6. 광촉매
 3-7.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4. 차세대 광기능 재료의 시장규모 예측
   (그림ㆍ표1) 차세대 광기능 재료의 일본 국내 및 세계 시장규모 예측(금액: 2020~2040년 예측)

5. 차세대 광기능 재료에 관한 기업・연구기관의 대응 동향
 5-1. 국립대학법인 이바라키대학(茨城大学)
   (그림1) 개발한 라다형 구조를 가진 2종류의 도너 억셉터형 분자
   (그림2) (a)라다형 TADF 발광체를 사용한 OLED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과 
             (b)휘도-EQE 곡선과 EL 소자에서의 발광 소자
 5-2. 국립대학법인 우쓰노미야대학(宇都宮大学)
   (1) 정밀무기합성을 기반으로 하는 광기능 재료 및 환경기능 재료의 개발 8
   (2) 성장 차원을 제어하는 독자적인 산화물 합성방법
 5-3. 국립대학법인 에히메대학(愛媛大学)
   (1) 무연・제로/저광탄성 유리 재료의 신규 개발
   (그림3) 무연・제로/저광탄성・투명 인산염 유리
   (그림4) ZnO, SnO를 함유한 무색 투명의 제로 광탄성 ZnO-SnO-P2O5 유리
   (2) 저광탄성(저복굴절성) 유리의 포토닉스 응용
   (그림5) 저복굴절성(저광탄성) 렌즈・필터가 배치된 편광 프로젝터 내의 광학계
   (3) 광탄성 상수의 고정밀도 측정
   (그림6) 레이저 헤테로다인법을 이용한 원반형 유리의 광탄성 상수의 고정밀도 측정계
 5-4. 국립대학법인 오사카대학(大阪大学)
   (1) 생체 기능을 밝히는 데 필요한 광 스위칭 기능을 가진 하이브리드 나노입자와 관찰기술의 개발 
   (2) 광대역 광응답성 하이브리드형 광촉매의 개발
 5-5. 국립대학법인 규슈대학(九州大学)
   (1) π 전자계 화합물을 이용한 광전변환/청정에너지 기술
   (2) 고효율 발광기능을 가진 전자계 화합물과 OLED 디바이스
 5-6. 학교법인 게이오기주쿠대학(慶応義塾大学)
   (1) 고휘도 광산란 도광 폴리머
 5-7. 국립대학법인 사가대학(佐賀大学)
   (1) 유기-무기 층상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우물 재료를 이용한 포토닉스 재료의 개발
   (그림7) 유기-무기 층상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구조 
   (그림8) 기능성 발색단을 도입한 유기-무기 층상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우물 
 5-8. 학교법인 조치대학(上智大学)
   (그림9) 페로브스카이트층의 수평배향(좌)와 수직배향(우)
   (그림10) (a)유기층에 카복시기를 도입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b)박막 단면의 전자현미경 상
 5-9. 국립대학법인 도쿄대학(東京大学)
   (그림11) 여러 가지 형상의 나노 입자
   (그림12) 포집한 빛에너지의 행방
   (그림13) 반투명 태양전지의 개념도
   (그림14) 광나노가공의 사례
 5-10. 국립대학법인 도쿄농공대학(東京農工大学)
   (1) 분자 집합체 나노와이어와 금 미립자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조의 제작과 전기 물성 평가     
   (2) 수소 결합 제어에 의한 겔의 제작과 평가
   (3) 도너 억셉터 분자를 치환한 부타디엔 유도체의 합성과 전기 특성 평가
 5-11. 국립대학법인 도호쿠대학(東北大学)
   (1) 유리에서 광파 제어 디바이스를 만든다.
   (그림15) 결정과 유리의 구조 차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
   (그림16) 선형 광학효과와 비선형 광학효과의 차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
 5-12. 국립대학법인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長岡技術科学大学)
   (1) 레이저에 의한 유리의 위치선택적 결정화 프로세스의 개발과 디바이스로의 전개
   (그림17) 레이저에 의해 유리 표면에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
   (그림18) 유리 표면에 제작한 LiNbO3 결정의 2차원 패턴
   (2) 고기능 결정화 유리의 개발
    (그림19) 비선형 광학 특성을 가진 결정화 유리
   (3) 케미컬 프로세스에 의한 유리의 형태 제어 기술
   (그림20) 강유전체 나노 결정으로 이루어진 섬유 프로브(좌) 및 유리 기판 위에 형성한 마이크로 홈 구조체(좌)
 5-13. 학교법인 니혼대학(日本大学)
   (1) 유기색소분자를 이용한 광/전기에너지 변환소자의 고효율화 
   (그림21) 은나노 어레이 구조의 빛 가둠 효과에 의한 광전류 증폭의 모식도
   (그림22) Cu 재료의 빛 가둠 효과에 의한 광전류 증폭 사례
   (2) FeS2 반도체 나노 결정 자체의 빛 가둠 기능 
   (그림23) 합성한 FeS2 나노 결정의 빛 가둠 효과와 근적외역에서의 광흡수 증폭
 5-14. 국립연구개발법인 물질재료연구기구(NIMS)
   (그림24) 광조사에 의한 전류-열류변환의 제어
   (그림25) 원편향을 조사함으로써 디자인한 온도 변화 패턴의 예, 
              (a)광유기 자화 반전 현상으로 디자인한 자화 분포 모식도, 
              (b)Co/Pt 다층막에서의 이상 에팅스하우젠 효과의 관측 예, 
              (c)직선 편광 조사에 의한 온도 변화의 ON/OFF 제어

6. 차세대 광기능 재료의 장래 전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