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3일 수요일

베이비(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3년)/야노경제연구소

 베이비(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3년)

【자료체재】

자료명:「2024년판 베이비(유아) 관련 시장 마케팅 연감

발간일:2023년 12월 28일

체 재:A4판 408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3년 10월~12월

2. 조사대상: 유아·임산부·육아 지원 관련 사업자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한 청취조사 및 문헌조사 병용

<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 용어정의>

본 조사에서 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이란, 유아(0~2세)용 출산·육아용품과 식품, 의류품·일상용품, 육아 관련 잡지, 그림책, 완구 등의 유아 관련 용품, 유아 관련 서비스(어린이집)를 대상으로 산출했다. 한편 일부 3세 이상의 유아용 용품·서비스를 포함한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육아용품(젖병·공갈젖꼭지, 유아용 식기,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 스킨케어 관련 상품, 유아용 침대·아동용 침구, 유모차, 유아용 의자·유아용 식탁의자, 유아용 카시트, 아기띠), 식품(분유, 이유식), 의류품(유아복, 유아용 신발, 임부복), 출판물·완구(육아잡지, 그림책·지육책, 지육완구·유아용 완구), 유아 관련 서비스(어린이집)

◆2022년 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0.5% 증가한 4조 3,537억 엔

~견조한 어린이집 시장과 더불어 순조로운 수요 회복 및 가격 조정 등의 플러스 효과로 인해 해당 시장은 플러스 추이를 유지~

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규모 추이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유아 관련 용품은 제조업체 출하금액 기준(일부 소매 판매금액 포함), 관련 서비스는 사업자 매출액 기준

주2. 2023년은 전망치, 2024년은 예측치

주3. 유아(0~2세)용 출산·육아용품과 식품, 의류품·일상용품, 육아 관련 잡지, 그림책, 완구 등의 유아 관련 용품, 유아 관련 서비스(어린이집)를 대상으로 산출했다. 한편 한편 일부 3세 이상의 유아용 용품·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이부 임산부용 상품 카테고리도 포함한다.

1. 시장 개황

2022년의 유아 관련 비즈니스의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0.5% 증가한 4조 3,537억 엔으로 추계한다.

2022년에도 계속해서 출생수 감소로 수요층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해당 시장은 견조한 어린이집 시장에 힘입어 플러스 추이를 보였다. 또, 유아용품·육아용품을 비롯한 유아 관련 용품(용품, 식품, 의류 등)의 대부분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축소에서 순조로운 회복과 함께 가격 조정(인상) 효과도 맞물려 시장의 감소폭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거나 시장을 끌어올리는 움직임을 볼 수 있었다.

2. 주목 토픽

상품 카테고리별 수요 동향

육아용 우유 시장과 유아식 시장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 순조롭게 성장해왔으나,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시간 증가로 시간 단축 니즈와 외출 수요 저하가 영향을 미쳐 감소세로 돌아섰다. 2021년 이후는 시간 단축과 편리성을 중시한 니즈와 외출 수요의 회복, 2022년의 가격 조정 영향도 있어, 다시 확대 기조가 됐다. 향후는 남성의 육아 참여가 진전되면서 한층 더 수요가 고조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유 수유 관련 용품(젖병·젖꼭지) 시장은 출생수 감소와 코로나19로 인한 인바운드 수요의 소실에 의해서 감소세였으나, 2022년은 리뉴얼 상품 출시에 의한 대체수요가 활발해져서 시장은 증가로 돌아섰다. 향후에도 부가가치 상품의 출시와 가격 조정에 의한 시장규모 확대, 인바운드 수요 회복, 나아가 남성의 육아 참여 진전을 배경으로 시장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사태로 큰 마이너스 영향을 받은 유모차 시장은 2021년부터 점차 외출 자제 등이 완화되어 유모차 이용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회복세에 있으며, 가격 조정의 영향에 의해서 그 규모도 확대됐다.

3. 장래 전망

유아 관련 비즈니스 시장의 대부분은 출생수 감소의 진행에 의한 수요층 감소에 의해서 어려운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도 견조한 어린이집 시장에 힘입어 플러스 추이가 전망된다. 한편, 유아용품·육아용품을 비롯한 유아 관련 용품(용품, 식품, 의류 등)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가격 조정 효과에 의한 시장규모 성장을 볼 수 있지만, 인바운드 수요와 외국 수요의 도입, 한층 더 높은 부가가치 상품의 출시 등에 의해서 수요층 감소를 어떻게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을지가 과제이다.

어린이집 시장은 신장률이 둔화되고 있으나, 저출산 대책·육아 지원을 위한 공적자금의 계속적인 투입에 의한 보육시설을 비롯한 보육제도·환경정비·확충에 의해 견조한 추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저출산 대책·육아 지원의 추진에 의해 플러스 추이를 기대한다. 다만 출생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보육시설의 신규 개설 포화와 폐원, 이용자 수 감소에 따른 마이너스 영향이 우려된다.

☞해당목차 바로가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