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코드 C58105600 / A4 129p / 2016.06.29
자동차의 IT화 및 DA(Display Audio), 클러스터, HUD(Head Up Display), RSE(Rear Seat Entertainment) 등의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탑재 수 증가 등에 따라 이들 표시 디바이스 조작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로서 자동차 터치패널(TP)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이 시장에 참가해 온 일본계 메이커에 가세하여 한국, 중국 등의 해외 세력이 신규 참여를 마쳤을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메이커도 자동차용으로 인셀•온셀 개발을 진행하는 등 최근 자동차 TP시장은 본격적인 경쟁시기로 접어들었다. TP메이커가 자동차 분야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고품질과 제품신뢰성 확보는 물론 곡면 및 이형 등 디자인성과 디스플레이 대화면화 대응(저저항화), 터치포드백 및 제스처 등의 새로운 UI 등 새로운 콘셉트의 차종 개발을 향해 다양화•고도화되는 고객의 니즈에 최적화한 상품을 타사보다 앞서 기획하여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 조사개요
조사목적:자동차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부재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시책 조사 및 주변조사를 철저히 실시함으로써 월드와이드 자동차 터치패널 시장에서의 현상과 장래전망을 파악
조사대상:자동차용 저항막 터치패널, 자동차용 정전용량 터치패널, 터치패널부재(투명 도전성필름, 커버렌즈(글라스•플라스틱), IC컨트롤러, OCA 등)
조사방법:직접 면접취재를 토대로 문헌조사 병용
조사기간:2016년 4월~2016년 6월
◆ 본 자료의 포인트
• 차세대 자동차의 「가치」를 구현화하는 개발•제안이 채용 확대의 열쇠
• 곡면•이형 등의 디자인성, 대형•저저항화, 새로운 입력 UI대응
고객 요구를 선점하여 「2~3년 후 수요」를 확보하라!
• 2016년 자동차용 정전용량 TP시장은 전년대비 148.0%인 1,601만 패널
2018년에는 정전용량 TP의 시장규모가 저항막TP를 웃돌 전망
• LGI, ELK과 함께 중국 TP메이커의 자동차 시장 참가도 가속
• 글라스센서 진영은 제품 신뢰성과 고투과, 저저항화, 엣지 슬림화를 어필
필름센서 진영은 가격과 제작 용이성, 박형•경량화를 무기로 전개
• 2017년부터 자동차용 비ITO계 PF2 양산 시작
• 자동차용 인셀•온셀 개발 본격화
제품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의 체제 구축이 과제
• 성형품을 이용한 필름센서 메이커의 곡면 TP 개발이 잇따라
두께 50μm의 초박형 글라스를 사용한 곡면글라스센서 실현을 위한 대응도 진행
• 진동으로 터치감촉을 낼 수 있는 터치피드백 TP가 새롭게 주목 집중
◆ 리서치 내용
■ 게재 내용
조사결과의 포인트
제1장 자동차 터치패널 부재시장의 현상과 장래 전망
곡면•이형 등의 디자인성, 대형•저저항화,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
고객 요구를 선점하여 「2~3년 후의 수요」를 잡아라!
해외 주요 TP 메이커에 의한 자동차 시장 진출 가속
차세대 자동차의 「가치」를 구현화 하는 개발•제안이 채용 확대의 열쇠
제2장 자동차 터치패널 부재의 기술동향
자동차 터치패널의 기술동향
2016년 자동차용 정전용량 TP 시장은 전년대비 148.0%인 1,601만 패널
2018년에는 정전용량방식 TP의 시장규모가 저항막방식 TP를 웃돌 전망
(표) (그림) 자동차 TP 방식별 시장규모 예측
(그림) 자동차 TP 방식별 시장규모 예측
(그림) 자동차 TP 방식별 시장구성비 예측
(표) (그림) 자동차용 저항막 TP 타입(Glass/Film Sensor)별 시장규모 추이
(그림) 저항막방식 자동차 TP 구조별 시장규모 예측
(표) (그림) 차량용 정전용량 TP 타입(Glass/Film Sensor/In•On-Cell)별 시장규모 추이
(표) (그림) 정전용량방식 차량용 TP 구조별 시장규모 예측
2015년 자동차 정전용량 TP 시장은 호시덴이 280 만대로 톱 점유율 확보
일본계 TP 메이커가 자동차 정전용량 TP 시장의 약 90% 점유
(도표) 자동차용 정전용량 TP 메이커별 점유율 (2015년 실적)
(도표) 자동차용 정전용량 TP 메이커별 점유율 (2016년 예측)
2017년부터 자동차용 비 ITO계 PF2 양산을 앞두고 있는 LGI, ELK와 함께
중국 TP 메이커의 자동차 정전용량 TP 시장 진출도 가속화
(표) 차량용 저항/정전용량방식 각종 TP
(표) 자동차 TP module 구조별 가격 (2016년 Q2 시점)
디스플레이 메이커의 자동차용 인셀•온셀 개발 본격화
제품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의 체제 구축이 과제
(그림) 터치 디스플레이 구조
2017년에는 애프터마켓에서 Cu계 TP 양산 예정
곡면대응과 고감도, 저저항값과 내노이즈성 등 비ITO계 TP 특징에 주목 집중
저저항화를 위해 필름센서에서는 기판변경 및 도전성 재료 검토 진행
(표) 자동차 TP 환경시험 사양
성형품을 이용한 필름센서 메이커의 곡면 TP 개발 잇따라
두께 50μm의 초박형 글라스를 사용한 곡면유리센서 실현을 위한 대응도 진행
진동으로 터치 감촉을 낼 수 있는 터치피드백 TP에 주목 집중
글로벌 전개에서는 ISO / TS16949 취득이 필수 조건
자동차 터치패널용 부재의 기술동향
① ITO 글라스/ITO 필름
제품신뢰성 및 고투과율, 저저항화, 엣지의 초슬림화를 이유로 글라스센서 우위성 유지
한편 경량•박형, 곡면대응에 유리한 필름센서 채용도 점차 확대
(표) 주요 자동차 TP 메이커의 ITO 필름 / ITO 글라스 조달처 상황
② 커버시장(커버글라스/수지커버)
글라스커버는 질감, 내찰과상성, 고급스러움을, 수지커버는 안전성과 성형가공성을 어필
완제품 제조기술 확립 및 조달 안정화를 위한 멀더와의 협력이 중요 과제
(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및 TP 커버용 수지시트의 메이커별 제품 일람
③ OCA / OCR 시장
Momentive와 아사히카세이바커가 자동차으로 실리콘계 확판에 주력
④ 인출선 재료 시장
글라스센서 메이커는 MAM의한 포트리소 표준
필름센서는 레이저 에칭용 Ag 페이스트의 수요 확대
(표) 자동차용 정전용량 TP 메이커의 센서 라인업 및 인출선 성형방법
(표) 자동차 TP용 부재별 공급 업체 일람
(표) 자동차 TP 공급망 개황
(표) 주요 자동차 TP 메이커 생산거점 개요
(표) 주요 자동차 TP 메이커 생산거점 개요
제3장 자동차 터치패널 부재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호시덴 주식회사
AOE의 새로운 회사 설립
정전용량 TP의 일관생산에 의한 제품개발능력과 가격경쟁력 강화 추구
패시브 매트릭스 액정 라인을 개조, 2013년 11월부터 정전용량 TP 생산 시작
2015년 가을부터는 고객 요구에 따라 자동차용 필름센서 생산 시작
정전용량 TP 양산에 따라 TP 매출 확대 추세
2016년도 출하량은 저항막 TP 80만장, 정전용량 TP 340 만장 전망
저항막은 G/G, 정전용량은 PG2 • GG2, OGS (Sheet), PFF 라인업
성형품을 이용한 곡면 TP와 고감도 TP 개발 추진
후타바전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정전용량 TP의 수요증가에 대비해 대만공장의 적극적인 설비 투자
전공정에서 후공정까지 일관생산체제를 강점으로 자동차 TP 전개에 주력
2016년 전공정 생산능력 두 배 증가, 후공정 자동화 라인, 가식인쇄 및 광학코팅 가능한 설비도입 검토
2016년도 정전용량 TP 매출은 전년대비 두 배 목표
곡면대응은 당분간 박판 글라스센서로 대응 검토
파나소닉 주식회사
(오토모티브&인더스트리얼시스템즈사 메카트로닉스사업부)
곡면 TP와 자동차에서 회사 전체적으로의 개발 체제를 무기로 더욱 TP사업 성장을 목표
저항막 TP 및 정전용량 TP를 모두 취급하는 강점을 살려 자동차 용도에서의 전개 가속
자동차 TP는 저항 F/G와 PFF•GFF 라인업, 성형품을 이용한 곡면형상 TP를 무기로 수주 획득에 주력
일본항공전자공업 주식회사
한발 앞선 차세대 제품 개발과 제안 진행, 기술 우위와 가격 경쟁력 강화 도모
2017년 봄부터 자동차 TP용 필름센서 양산
생산라인의 전체 자동화 추진으로 추적가능시스템 구축에 주력
가격, 저저항값, 곡면대응 등의 특징을 필름센서의 장점으로 어필
필름센서 TP 양산에 따라 2017년도 매출 확대 전망
자동차 TP는 PG2를 메인으로 전개, TP의 사용부재는 고객의 제품사양과 요구에 맞추어 선택
주식회사 소에이
2017년부터 본격 시작된 정전용량 TP, 자동차에서는 기존고객과 함께 신규고용으로 판매 예정
2016년 7월부터 정전용량 TP의 생산능력은 100만장/월
TP 마케팅과 고객의 기술지원을 위해 북미•유럽에 영업 거점 개설
2017년 매출은 120~150억엔 전망. 같은 해 저항막 TP : 정전용량 TP의 매출 구성비는 40 % : 60 %
2016년부터 필름센서를 이용한 PFF의 OEM 생산 시작
엣지의 초슬림화 연구개발 테마에 L / S = 16μm / 16μm개발 추진
주식회사 마이크로기술연구소
ITO 글라스센서 2개를 사용한 GGG타입 개발
고품질과 신뢰성을 무기로 신규고객 채용 확대 목표
2010년에 자동차용 정전용량 TP 양산 개시, 생산거점 통합 추진으로 TP 생산 효율화에 대응
자동차용 저항막 TP의 수요 감소에 따라 2016년도는 400 만장까지 축소될 전망
2016년도 저항막 TP 및 정전용량 TP의 매출 구성비는 20 % : 80 %
저항막 TP는 G/G, 정전용량 TP는 GGG 라인업
곡면 TP 요구에 대해 두께 50μm의 평면정전용량 TP 제안 추진
일본사진인쇄 주식회사
IMD®와 필름센서를 융합한 3D 형상의 자동차 TP 전개 가속
2015년 4 월에 수직통합전략실 신설, 사업포트폴리오 전환에 의한 한층 성장을 목표
지산지소의 고객 니즈에 대하여 장래적으로는 자동차 TP 모듈의 글로벌 생산 검토
자동차용 필름센서는 PC 기판의 ITO 필름 사용
곡면, 박형•경량과 함께 3D 형상 등을 무기로 제안 추진
돗판인쇄 주식회사
자동차 Cu 계 TP의 제품신뢰성과 시인성 향상에 주력하고 조기 실용화를 목표
애프터마켓용 Cu계 TP의 샘플 작업 추진, 모듈 외 터치센서 단독 판매도 검토 중
플랫한 수지커버 및 성형품에 Cu 센서를 붙인 PF2 제품화
선폭의 세선화와 4면 흑화처리로 시인성 향상에 주력
LG이노텍 주식회사 (LG Innotek Co., Ltd)
자동차 기기용으로 OGS(Cell) 채용에 이어서
2016년말 양산화를 위해 PFF 개발에 주력
2016년 3월부터 자동차용 OGS (Cell) 양산
OGS(Cell)가 12.1" 와일드 디스플레이용으로 채용
고내구성 PET 필름 사용 및 인출선 재료의 재검토 등을 통해 PFF 신뢰성 향상에 주력
OGS(Cell)와 LCD 패널 사이는 실리콘 OCR 다이렉트 본딩 추진
SJT CO., LTD.
자동차용 저항막 TP의 판매 실적과 고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살려,
자동차용 정전용량 TP의 양적 확대 도모
2016년 저항막 TP의 생산 능력을 두 배로
단가하락과 신규고객 선점 등으로 201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20%에 머무름
자동차용 정전용량 TP는 GFF • PFF, PFG 라인업
필름센서와 글라스센서를 모두 취급하는 강점을 살려 고객 제안에 주력
한국터치스크린 주식회사 (Hantouch Co.,Ltd.)
자동차 및 산업용을 중심으로 저항막 TP 사업 강화
자동차 정전용량 TP는 외부시설을 활용한 전개 검토 중
오랜 경험과 사용실적이 강점, 저항막 TP 확판에 주력
AG 및 AR 처리된 ITO 필름을 조달하고 저반사•잔상 방지에 대한 고객 요구에 대응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AU Optronics Corporaion)
민생용과 함께 자동차용에도 TP+LCD 세트제품 확판
2015년 GG2/PG2 양산 시작, 경량화 니즈에 필름센서를 이용한 TP 개발도 검토 중
박형•경량화 니즈에 대응하여 자동차용 온셀 개발에 주력
TP구조의 재검토 및 재료의 두께 조정 등을 실시하여 자동차용 온셀의 신뢰성 강화 추진
아사히글라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커버글라스의 왕성한 수요에 대응하여 공급체제 확충
2012년 자동차용 커버글라스 양산
ADY사를 통해 광학처리 및 인쇄 등을 실시한 자동차 커버글라스 공급 체제 확충
일본계 자동차 메이커 및 Tier1에서 차량용 커버글라스에 대한 거래 문의 증가
디자인성 향상을 위해 3D 형상의 커버글라스 개발도 추진
데이진 주식회사
자동차 TP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수지커버 수요 확대에 대하여
「팬 라이트 시트」와 가식필름 제안에 주력
마쓰야마사업소에서 자동차 「팬 라이트 시트」와 가식필름 생산
전면판의 3D화에 대응하여 AG 등의 광학특성을 부여한 자동차 가식필름 확판에 주력
도요보 주식회사
저항막 TP용에서의 사용실적과 폴리머 설계기술 등을 살려 자동차용 도전성 페이스트 전개에 주력
대만계•중국계 TP 메이커의 자동차 정전용량 TP 개발 진행, 레이저 에칭용 Ag 페이스트 제안에 주력
자동차용 정전용량 TP용으로 「DW-520」시리즈 샘플 작업
신규 개발품의 약 80%가 자동차 정전용량 TP용
아트멜재팬 합동회사(A Microchip Technology Inc.Company)
3D 제스처 기능 등 기술 융합에 의한 새로운 UI 제안에 주력
2015년 7월부터 자동차용으로 「maXTouch®」T시리즈 판매 개시
2016년 5월에는 MICROCHIP에 의해 매수
카 내비게이션 등의 사이즈 업에 대비하여 대형 대응 컨트롤러 IC 개발
「maXTouch®」와 3DGestIC® 센싱기술을 융합한 3D 제스처 제안에 주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