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일 월요일

토일리트리, 일용잡화 - 토일리트리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0년)/야노경제연구소

 토일리트리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0년)

 


【자료체재】 

자료명:「2020년판 토일리트리용품 마케팅 총감

발간일:2020년 12월 25일

체   재:A4판 267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0년 10월~12월

2. 조사대상: 토일리트리 메이커, 기타 관련 기업 등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직접면담, 우편 설문조사, 업계 단체 등 조사 및 문헌조사 병용 


<토일리트리 시장 용어정의>

 본 조사의 토일리트리 시장규모는 주로 일용잡화 루트를 통해서 판매되는 제품, 「의류 관련(의류용 합성세제, 유연제 등 7품목)」, 「홈케어 관련(주방용 세제, 랩핑 필름, 방향·소취제, 살충제 등 16품목)」, 「페이스·보디케어 관련(보디샴푸, 손세정제 등 10품목)」, 「구강케어 관련(치약, 세구액 등 6품목)」, 「새니터리 관련(화장지, 티슈페이퍼, 성인용 기저귀 등 11품목)」의 5분야 합계 50품목을 대상으로, 메이커 출하금액 기준으로 산출했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①의류 관련(의류용 합성세제, 패션세제, 유연제, 의류용 표백제, 의류·섬유 제용 소취제, 방충제, 방수제), ②홈케어 관련(부엌용 세제, 주방클리너, 랩핑 필름, 레인지·오븐시트, 알루미늄호일, 가정용 장갑, 냉장고용 탈취제, 주방용 제균제, 식기세척기용 세제, 욕실용 세제, 방향·소취제, 제습제, 청소용 세제, 가정용 왁스, 화장실용 세제, 살충제), ③페이스·보디용 관련(세면비누, 보디샴푸, 손세정제, 제한제, 입욕제, 핸드크림, 화장솜, 일회용 면도날, 일회용 면도기, 셰이빙 용품), ④구강케어 관련(치약, 칫솔, 세구액, 의치 안정제, 치실), ⑤새니터리 관련(유아용 기저귀, 성인용 기저귀, 생리 용품, 경도실금 용품, 티슈페이퍼, 물티슈, 타올페이퍼, 화장지, 쿠킹페이퍼, 가정용 마스크, 기름종이)


◆2020년도 토일리트리 시장규모는 전년도 대비 5.5% 증가한 2조 974억 3,000만 엔 전망

~인바운드 감소세의 표면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코로나19 예방 니즈 확대로 여러 상품의 수요가 대폭 확대~

 

토일리트리용품 시장규모 추이 및 예측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메이커 출하금액 기준

주2. 2020년도는 전망치

주3. 주로 일용잡화 루트를 통해 판매되는 제품을 가리키며, 「의류 관련(7품목)」, 「홈케어 관련(16품목)」, 「페이스·보디케어 관련 10품목)」, 「구강케어 관련(6품목)」, 「새니터리 관련(11품목)」의 5분야 합계 50품목을 대상으로 했다.


1. 시장 개황

  2019년도 토일리트리 시장규모(메이커 출하금액 기준, 5분야 50품목)는 전년도 대비 103.6%인 1조 9,877억 300만 엔이었다. 시장 전체의 경향으로는 국내 인구가 저출산 고령화에 의한 자연 감소로 전환해, 양적 판매에서 질을 높인 고부가가치·고단가 제품의 판매를 강화함으로써, 수량 베이스의 부진을 구입단가 상승으로 커버하는 수익 확보 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2019년 10월부터 실시된 소비세 인상 전의 선수요와도 연동하는 등, 시장 확대에 작용하고 있다.  2020년 초부터 발생한 코로나19를 대비하기 위해 소비자가 가정용 마스크나 손소독·제균계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슈퍼마켓이나 드러그스토어, 편의점 등 소매 점포에 쇄도하는 등, 여러 특정 토일리트리 상품을 중심으로 한 대량 구입이 발생한 것도 시장 확대를 뒷받침했다.


2. 주목 토픽

중국 EC법 시행, 미·중 무역마찰, 타 지정학적 영향으로 인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수요 감소


  지금까지 중국인을 비롯한 인바운드(방일 외국인 고객) 수요가 국내 토일리트리용품의 소비 진작 요인 중 하나로 기여했으나, 2019년 1월부터 중국EC법이 시행되면서 대규모 고객인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인바운드 수요가 크게 줄었다. 특히 유아용 기저귀 등 현지 전매로 시세 차익을 챙겨온 중국인 소셜바이어가 도태되면서 방일 동기를 잃는 등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일본의 토일리트리 메이커에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해,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판매를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 대형 EC사이트 '알리바바'를 비롯한 주요 EC사이트에 출점해, 국경을 초월한 EC전략에 의거한 일본제 토일리트리 제품의 현지소비자 대상 판매 강화에 나서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2019년 3월 발발한 홍콩 시위는 진정되고 있지만 현재도 정정 불안 상태에 있다. 여기에 2018년부터 이어진 미·중 무역마찰이 중국 국내 제조업 및 국내 경기에 미치는 영향도 겹쳐, 중국에서의 일본제 토일리트리용품 판매 확대에는 불확정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3. 장래 전망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및 라이프스타일·가치관의 다양화에 의해, 인터넷상에서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제품을 주문할 수 있는 PC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EC·온라인에 의한 구입 스타일이 침투해 왔다. 세대 간에 차이는 있지만, 세대 변천에 따라 향후 한층 더 EC·온라인 구입이 증가할 것으로 상정되어, 메이커 각사는 자사 온라인 사이트 구축 외에 외부 인터넷몰 출점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유인 점포 판매에서의 대인접촉과 밀폐 환경을 회피하기 위한 생활잡화품의 구입방법으로서, EC·온라인 구입으로 전환하는 소비자가 증가, 위드 코로나· 코로나 이후의 생활스타일·소비스타일, 멀티채널화의 구현 사례로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목차 바로가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