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6일 수요일

2023-2024년판 플라스틱 재활용(리사이클) 시장의 전망과 전략 ~수지편~(일본어판)/야노경제연구소

 <일본시장조사보고서>2023-2024년판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전망과 전략 ~수지편~(일본어판)

(일본어목차)2023-2024年版 プラスチックリサイクル市場の展望と戦略 ~樹脂編~

자료코드: C65122200 / A4 187 / 2023. 12. 28

2022년 6월 발간 보고서 '2022년판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전망과 전략'에서는 머티리얼 재활용 및 케미컬 재활용 기술, 재활용 시장의 활발화 배경, 각국의 정책·전략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서플라이 체인의 업스트림 기업인 리사이클러, 수지 업체에 초점을 맞추어 플라스틱 재활용 서플라이체인 전체의 대응을 업스트림 기업 관점에서 정리·고찰합니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일본의 플라스틱에 관한 현재 시장동향, 재활용 및 수지 메이커의 사업전개, 생산설비 동향과 더불어 수지별 동향을 조사하여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에서의 현황과 향후 동향을 파악

• 조사대상: 재활용품, 화학 메이커(머티리얼 재활용, 케미컬 재활용, 열 재활용)

• 조사방법: 당사 전문 조사원의 대면취재를 베이스로 문헌조사 병용.

• 조사기간: 2023년 10월 1일~ 2023년 12월 22일

◆자료 포인트

목표는 「경제성」×「지속가능성」에 의한 자원순환

MR, CR, TR을 융합한 일본 독자적인 스킴 구축이 관건

• 2030년 일본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684만t 예측

MR 수요 확대, CR 기술 구현화를 배경으로 TR 대체가 진행

• 리사이클러와 화학 메이커는 재활용을 브랜딩해 가치를 소구

유저와 소비자를 포함한 회수 실험 등의 대응도 증가

• MR에서는 범용 수지를 중심으로 수평적 재활용의 대응이 활발화

DIC와 미쓰이물산을 비롯해 용매를 이용한 MR 개발도 진행

• 모노머화에서는 마이크로파 화학이 화학 메이커와 제휴 강화

알플러스재팬은 2030년에 20만t/년 규모의 플랜트 가동을 전망

• 미쓰비시케미컬·ENEOS에서는 2024년 여름경에도 2만t/년 유화 플랜트를 상업화

이즈미쓰흥산·환경에너지는 합작회사를 설립해, 2025년도 상업화를 목표

• 가스화에서는 레조낙KPR이 일본 유일 20년 이상 상용화 실적

세키스이BR에서는 2025년 이후 바이오에탄올 상업화를 목표로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수지편과 유저편으로 분할

·대상 수지·섹터의 재활용 시장규모 산출

·일본외 플레이어의 동향을 심화 조사·업데이트

·유저의 대응을 섹터별로 자세하게 해설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 포인트

제1장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의 전망과 전략

목표는 「경제성」×「지속가능성」에 의한 자원순환

MR, CR, TR을 융합한 일본 독자적인 스킴 구축이 관건

  2030년 일본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684만t 예측

  MR 수요의 확대, CR 기술의 구현화를 배경으로 TR의 대체 진행

    (그림) 일본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규모 예측(2023~2030년)

    (표) 일본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규모 예측(2023~2030년)

    (그림) 일본 폐플라스틱의 총배출량·유효이용/미이용량·유효이용률 추이

    (표) 일본 폐플라스틱의 총배출량·유효이용/미이용량·유효이용률 추이

  플라스틱 to 플라스틱 고도화에 따른 MR 및 CR율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 특성에 맞춘 TR과의 밸런스를 판별하는 것이 시장 확대에 불가결

    (그림)①현상을 유지한 경우

    (그림)②유럽 기준의 지속가능성으로 완전 이행한 경우

    (그림)③'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을 양립한 경우

  지속 가능한 재활용 시장에는 모든 관계자가 환경 가치를 받아들이는 세계로의 이행이 필요

  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한 자원의 국내 순환이 해외 자원 의존을 해결

제2장 플라스틱 재활용의 기술별 동향

2-1. 머티리얼 재활용 기술 동향

  2-1-1. 시장 동향

    국제적 차원의 환경규제 강화, 소비자 의식 변화로 폐플라스틱 배출량은 10년 만에 120만t 감소

    MR은 '현상유지'가 아니라 20%의 벽을 넘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향상이 요구된다

    (그림) 폐플라스틱 총배출량, 유효이용량, MR 추이(2013~2022년)

    (표) 폐플라스틱 총배출량, 유효이용량, MR 추이(2013~2022년)

    (그림) 머티리얼 재활용 원료 내역(원재료별)

    (표) 머티리얼 재활용 원료 내역(원재료별)

    (그림) MR에 사용된 PCR재의 유래 분야 내역)

    (표) MR에 사용된 PCR재의 유래 분야 내역)

    (그림) 머티리얼 재활용 원료 내역(수지별)

    (표) 머티리얼 재활용 원료 내역(수지별)

    (1) PET병

    고품질의 폐 PET병은 병 이외의 수요가 확대

    주요 음료업체의 친환경 100%에는 PET병의

    회수 스킴 구축이 중요시

    (그림) 지정 PET병 판매량, 회수량, 재활용량 추이

    (표) 지정 PET병 판매량, 회수량, 재활용량 추이

    (표) 주요 브랜드 오너 PET병 원료 조달방침

    (2) 용기 포장

    용기 포장에서의 캐스케이드 재활용은 광범위하게 실현, 향후 수평적 재활용이 과제

    식품 트레이는 PS 제조사에 의한 고도의 MR로 트레이 to 트레이가 활발화

    (그림) 플라스틱 용기 포장에서의 재활용 플로우(2021년도)

    (그림) 플라스틱 용기 포장 MR 제품별 내역(2021년도)

    (3) 자동차

    유럽 ELV 지령 개정이 자동차 리사이클러의 순풍이 될 것으로 보여

    스미토모화학은 2023년 4월 리버와 ELV PP 부재 MR 업무제휴 계약을 체결

    (그림) 폐자동차 유래 PP 부품의 재활용 스킴

  2-1-2. 기술·개발 동향

    DIC와 미쓰이물산을 비롯해 최근에는 용매를 이용한 MR이 주목

    PP, PE, PS 등 범용수지를 필두로 자동차·용기 포장의 수평적 재활용 기술 착수

2-2. 케미컬 재활용 기술 동향

    폐플라스틱 회수 스킴 구축, CAPEX 과제를 넘어 CR 플랜트가 몇 년 이내에 구현화

    2022년 CR량은 28일 만t, 유효 이용량의 전체를 차지하는 비율은 4%로 아직 낮은 상황

    (그림) 케미컬 재활용 플로우

    (표) 케미컬 재활용 기술 개요

    (그림) 일본의 케미컬 재활용 처리량 추이

    (1) 모노머화

    수율이 높은 기술로서 각 기업 주목, 회수·선별 스킴이 CAPEX의 열쇠

    (그림) 케미컬 재활용의 모노머화 기술

    (2) 유화

    석유 콤비나트 내에서의 대응이 활발, 염소·브롬 문제 해결은 매우 중요한 과제

    (그림) 케미컬 재활용의 유화 기술

    (3) 가스화

    유일하게 일본 상용화 실적 20년 이상 된 CR 기술, 향후 올레핀 제조에도 주목

    (그림) 케미컬 재활용 가스화 기술

  2-2-1. 시장 동향

    식품 트레이의 모노머화 기술 개발이 활발, 식품 접촉 용도로서의 수평적 재활용을 도모

    ELV 지령 개정안에서의 재활용 수지 도입 의무에 따라 자동차에서의 CR도 활발

    (1) 용기 포장

    (2) 자동차

  2-2-2. 주요 플레이어 동향

    (1) 모노머화

    마이크로파 화학이 화학업체들과 연계 강화,

    소형·대형 설비 전개로 CR 시장을 견인

    40개 공동출자기업 알플러스재팬도 20만t/년 규모 플랜트를 2030년 가동

    (2) 유화

    2024년 여름에도 20,000t/년 플랜트가 미쓰비시케미컬·ENEOS에 의해 상업화

    (3) 가스화

    레조낙은 2022년 실적 약 75,000t/년 폐플라스틱 수용 태세 구축

    세키스이바이오리파이너리, 2025년 이후 바이오에탄올 상업계 목표

2-3. 서멀 재활용

    폐플라스틱 중에서도 오염이 심한 폐플라스틱의 유효 이용 기술로서의 안정적 수요

    엘콤도 e-PEP 시스템을 이용해 낙도·교외 폐플라스틱 에너지화에서 지역에 공헌

    (표) 일본에서 주목받는 모노머화 케미컬 재활용 기술의 일례

    (표) 일본에서 주목받는 유화 케미컬 재활용 기술의 일례

    (표) 일본에서 주목받는 가스화 케미컬 재활용 기술의 일례

제3장 플라스틱 재활용의 수지별 동향

3-1. 폴리올레핀(PP, PE)

    폴리올레핀에서는 용매 활용과 배합기술 등의 향상에 의한 MR의 고도화에 주목

    '2024년부터 유화 플랜트의 상업운전 개시, Car to Car, Film to Film의 가속화가 전망

  3-1-1. 재활용 개황

    (표) PP와 PE의 특징 비교

    (그림) PP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PP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MR에 의한 재생 PP 채용 실적(일례)

    (그림) PP용도별 출하량(2022년)

    (표) PP 용도별 출하량(2022년)

    (그림) PE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PE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MR에 의한 재생 PE 채용 실적(일례)

    (그림) PE 용도별 출하량(2022년)

    (표) PE 용도별 출하량(2022년)

    (표)PP·PE의 기업별 재활용 동향 사례

  3-1-2. 주목하는 포인트

3-2. PET

    Bottle to Bottle 50% 달성에는 CR 기술 구현과 MR 스킴 확대가 관건

    기타 rPET 제품의 수평적 재활용에는 모노머티리얼화와 PET병 원료 의존에서 탈피

  3-2-1. 재활용 개황

    (표) PET 특징

    (그림) PET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PET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재생 PET(플레이크) 용도 및 용도별 사용량(2022년)

    (그림) PET 용도별 사용량(2022년)

    (표) PET 용도별 사용량(2022년)

    (표) PET(보틀)에서의 기업별 재활용 동향 사례

  3-2-2. 주목하는 포인트

3-3. PS

    식품 접촉 용도로의 수평적 재활용 실현을 위해 PS 기업들은 모노머화에 착수

  3-3-1. 재활용 개황

    (표) PS 특징 비교

    (그림) PS류(AS, ABS 포함)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PS류(AS, ABS 포함) 생산량·배출량·MR량 추이(2013~2022년)

    (표) MR에 의한 재생 PS 채용 실적(일례)

    (그림) PS 용도별 출하량(2022년)

    (표) PS 용도별 출하량(2022년)

    (표) PS의 기업별 재활용 동향 사례

  3-3-2. 주목하는 포인트

제4장 플라스틱 재활용 관련 기업의 전망과 전략

미쓰이화학 주식회사

  재활용과 바이오매스를 주축으로 한 플라스틱 전략 추진

  다종다양한 케미컬 재활용 사업에 힘써 자원순환형 경제 구축을 도모하다

  밸류체인 전체를 시야에 두고 기후 변화와 플라스틱 문제를 함께 주시

  「BePLAYER™」 「RePLAYER®」를 양륜으로 진행해 재생가능한 사회를 목표로 한다

  MR에서는 연포장재 필름의 수평적 재활용에 주목하여 2023년 8월부터 실증 개시

  CR에서는 한 기술에 구애받지 않고 폭넓은 선택지를 가짐으로써 어떠한 플라스틱에도 유연하게 대응

  2023년도 Q4에는 일본 최초로 매스 밸런스 방식에 의한 CR 유래 유도품 제조 판매를 개시

  트레이서빌리티에도 주목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자원순환 플랫폼 구축

  정보의 가시화를 통해 각 이해관계자에게 중립성과 형평성을 담보

스미토모화학 주식회사

  「자원 순환 공헌」을 중요 과제의 하나로 규정하고,

  MR·CR을 비롯한 자원순환 기술 개발 및 사회 구현 추진

  리버와 대응하는 자동차용 PP MR에서는 2026년 3월까지 상업화 설비를 가동

  고강성 PE 스미클®에서는 용기 포장의 모노머티리얼화에 의한 수평적 재활용 실현을 목표

  플라스틱 제품 용기 및 PMMA의 자원순환시스템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연계 추진

  스미토모화학이 힘쓰는 CR 기술에 관한 2건 4개 테마가 NEDO GI 기금 사업에 채택

  재활용 플라스틱 브랜드 Meguri®의 제품 라인업을 확충하여 순환형 사회 구현

주식회사 레조낙

  KPR에 의한 가스화나 마이크로파에 의한 모노머화 등

  여러 CR 기법을 이용해 재활용을 추진해 경쟁력 강화로 연결

  저탄소 수소는 암모니아 원료 사용에 더해 2018년부터는 호텔 연료전지용으로도 공급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공정 중에 발생하는 CO2와 부생물의 재활용도 진행

  100% 폐플라스틱 유래 수소에 의한 암모니아 생산을 위해 2030년까지 KPR 처리능력을 배증

  마이크로파화학과 공동 대응하는 새로운 CR 기술에 의해 플라스틱 to 플라스틱의 자원순환을 목표

도레이 주식회사

  자원순환형 사회 구현을 중기경영과제의 중요 과제로 규정하고,

  연구·기술개발의 추진에 의한 제품·사업의 가치 향상을 목표로 한다

  섬유, 필름, 수지 등 MR 및 나일론 섬유 제품의 CR 실현

  기간 폴리머에서의 2030년도 재생자원 등 사용비율 목표치는 20%를 설정

  회수 스토리에 대한 한층 높은 공감과 참여를 목표로 2023년 4월 &+® 리브랜딩

  &+®에서는 PET병을 원료로 도쿄마라톤의 자원봉사복과 시로무쿠(白無垢)로 고부가가치화

  유리섬유 강화 PPS 재활용에서 버진재 초기 성능 유지 실현

  2023년 9월 혼다기술연구소와 자동차용 나일론 6개 수지 CR에 관한 공동실증 개시

세키스이바이오리파이너리 주식회사

  가연 쓰레기 재활용을 통한 새로운 자원순환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부가가치가 높은 폐기물유래 에탄올 제조 실증사업 추진

  Vison 2030에서는 폐플라스틱의 물질 재자원화율 100%를 목표

  2022년 20t/일 규모 실증 플랜트 가동

  독자적인 가스화 기술로 쓰레기가 가진 풍부한 에너지를 그대로 가져가면서 원료를 제조

  신브랜드 UNISON®을 런칭해 유저에 대한 자원순환의식 향상도 도모

  공급망과의 연계를 통해 폐플라스틱 유래 클로즈드 루프에도 착수

주식회사 알플러스재팬

  플라스틱 밸류체인 각 사의 견인차 역할로서

  순환경제 실현을 목표로 하다

  아넬로테크사와의 공동개발 속에서 찾아낸 저환경부하·고효율 재자원화 기술의

  확립을 위해 2020년 6월 12개사 공동출자회사 알플러스재팬 설립

  알플러스재팬은 2024년 말까지 Plas-TCat™의 기술개발 및 검증을 완료하고,

  2030년에 석유·화학회사와 SPC를 주체로 일본 상업 플랜트 초호기 가동을 목표

  알플러스재팬 참여 기업 제휴에 의한 플라스틱 회수 모델 구축 등이 활발화

  재활용 시 수송·보관효율 향상을 위해 고성능 압축기 검토 실시

마이크로파화학 주식회사

  「전자화」×「마이크로파 프로세스」에 의한 제조 프로세스로 CN 실현을 목표

  마이크로파에 의한 플라스틱 분해 기술 PlaWave® 전개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타깃한 부분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고효율 CR 실현

  미쓰비시케미컬과 협업으로 대응하는 PMMA CR은 2025년도 사업화가 목표

  소형 분산형 사업에서는 2030년도까지 소형 CR 설비를 전국에 1,000대 설치

이소코 주식회사

  Car to Car 재활용의 선구자로서

  ELV로부터의 물질 재활용 확대에 공헌

  일본 생산거점에서는 수년 내 능력 증강을 검토

  2023년 7월 유럽 ELV 지령 개정을 배경으로 한 자동차용 재활용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같은 용도를 위한 출하량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

  축적해 온 배합기술로 높은 물성·품질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용 재생재를 공급

  계속해서 재활용 수지의 부가가치 향상에 힘쓰다

베올리아재팬 합동회사

  연간 61만t의 재활용 수지 생산체제를 구축하여 전 세계 플라스틱 재활용

  밸루체인 대응을 목표로 하다

  2022년 10월 플라스틱 재활용 신브랜드 Plasti Loop을 출시

  전 세계 37개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품질 재활용 수지 라인업 실현

  Galloo의 고도 선별 기술을 도입한 플라닉은 2025년경 풀가동을 전망

  서큘러펫은 2024년 봄 가동 개시를 목표로 원료 조달을 위한 협업을 추진

미쓰이물산 주식회사

  상사의 국내외 네트워크를 강점으로 재활용 사업에도 주목

  미국 PCT와 일본 최대 재활용 PP 생산거점 가동 및 운영 검토

  각 부문의 CN 사업을 통합한 Green & Circular 플랫폼 구축으로 고객에 대한 소구를 도모

  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해 재활용 플라스틱 사업화에 주력

  PureCycle Technology의 용매를 이용한 고도 MR 기술에 주목, 2021년 9월 MOU 체결

  라벨 박리지 폐기 제로를 목표로 자원순환형 수평적 재활용 개시

타카프라리사이클 주식회사

  재활용 기술의 심화와 혁신을 거듭하면서 파트너십을 확대해

  사회 전체에서의 SDGs 달성을 목표로 하다

  회수~재생~고기능화까지를 일괄적으로 취급하는 독자적인 재활용 시스템을 통해

  음식 체인 및 소비재 제조업체 등 많은 대기업 및 관공서와의 거래 기반 구축

  라이온과 임하는 칫솔·재활용 프로그램에서는 자치단체의 자원회수사업과 제휴

  2023년 4월에는 스미다구, 이타바시구에 이어 다이토구와 칫솔 재활용에 관한 협정을 체결

PS재팬 주식회사

  용도별로 재활용 방법을 구분하여 사용한 PS의 자원순환 구축에 주목

  CR에서 목표로 하는 식품 접촉 용도의 수평적 재활용

  'PSJ-폴리스티렌'에서 CR·MR에 의한 재활용 가치 창출을 도모

  스티렌 모노머의 수율은 60% 이상, 도시바플랜트시스템의 기술을 채용

  미즈시마 공장에서의 CR 실증화 설비(처리능력: 1,000t/년)가 2023년 9월부터 운전 개시

  회수 PS 원료의 고배합 수지 제조, 고객 요구 물성을 실현

  현재는 사출성형용 재료로 제안, 향후에는 식품 용도 이외로의 전개를 강화

  2023년 9월 재생 PS수지 브랜드 '리본-폴리스티렌®'을 출시

DIC 주식회사

  주력 사업인 인쇄 잉크를 기반으로 재활용 추진

  탈잉크·탈묵 기술 등을 활용해 타사 MR 고도화에도 주력

  PS와 연포장 재활용을 주축으로 한 순환형 사회 구현을 목표

  재생 PS 펠릿을 탈잉크화하는 Dic법으로 무늬가 있는 식판의 용도 확대를 목표

  검증 중인 CR 기술 선정은 2024년, 2026년 이후 식품 접촉 용도의 수평적 재활용 실현으로

  2021년 5월부터 제빵 대기업과 폐기물 연포장 필름 MR 개시

  DeReSus®에 의한 PIR 유래 펠릿의 무색화와 물성 저하 억제 실현

  GreenToken by SAP에 의한 재활용 원료 정보의 가시화와 공급망의 투명화를 도모

  DATAFLUCT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개발 중, 소비자의 재활용 행동을 촉구

환경에너지 주식회사

  '지속가능=환경문제, 사회문제의 해결’로 포괄적으로 파악

  CR사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추구

  2023년 4월 이즈미쓰흥산과의 합작회사 케미컬리사이클재팬 설립

  처리능력 20,000t/년 유화 CR 상업설비 2025년도 상업운전 개시 예정

  촉매를 사용한 폐플라스틱 유화 기술 『HiCOP 방식』

  고품질 생성유, 안전성, 저운용 비용 실현으로 열분해 방식의 기존 과제 해결

  업사이클이 가능해지는 CR의 부가가치 가시화가 중요

  e플라스틱 인증(가칭) 등의 사회 인프라 확립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식회사 팬택

  플라스틱 재활용 토탈 프로듀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발전에 공헌

  2023년 12월 5번째 거점 서큘러디자인센터 개소

  이해관계자와의 공동창작에 의해 플라스틱 재활용의 촉진·고도화를 목표로 하는

  덴쓰와 대응하는 ’데, 오와라세나이 PROJECT’에서는 업사이클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2023년 시장 전체의 플라스틱 배출량은 감소한 반면,

  팬택은 폭넓은 수지 대응력을 이용해 전년 대비 20% 증가한 회수량을 전망

주식회사 엘콤

  폐플라스틱을 연료로 자원 효율 향상

  소형 장치의 분산 설치를 통한 자기완결형 에너지화 모델 구축

  자사설치형 클린 에너지화 시스템 e-PEP에 의한 폐플라스틱 유효 활용 제안

  폐플라스틱 연료화와 에너지화를 통한 처분비용, 연료비용, 환경비용 절감에 기여

  일본에서는 식품업계를 비롯한 폭넓은 업계에서 프로세스 도입, 아시아에서의 전개도 내다본다

  2026년 표착 플로트에서 에너지를 회수하는 일본 최초 지역 창생 모델의 시동을 계획

  5사 제휴 클린오션프로젝트 2040으로 자원순환을 목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