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1일 일요일

야노경제연구소 / 컬럼기고 - 떠오르는 총무∙인사부문 아웃소싱 비즈니스



야노경제연구소 서비스산업그룹
수석연구원 마쓰시마 사토(松島 勝人)
 

최근 기업의 총무·인사를 둘러싼 업무환경은 여러 법개정에 따라 급변하고 있다. 주요 법개정은 사회보장과 납세번호를 통일시키는 「마이넘버제도」의 시행(2016 년 1 월), 직원의 스트레스 검사를 의무화하는 「개정노동안전위생법」의 시행(2015년 12월), 기존의 파견 근로자 고용기간 규정을 변경한 「개정노동자 파견법」(현재 국회에서 통과될 예정) 등이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의 총무·인사 부서는 새로운 대응에 직면하게 되었다. 외부 사업자에게 금액을 지불하고 여러 가지 업무위탁을 할 기회가 늘어나면서, 총무·인사 업무의 아웃소싱 비지니스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 요인으로는 법개정에 따라 다음의 4가지를 들 수 있다.


리먼쇼크 후 사업자는 관리부서 인원을 철저하게 축소하고 있다. 자사의 인사·총무부문 직원은 채용 업무 등 핵심 업무에 특화하고, 그 외 인사·총무관련 업무는 외부 사업자에게 적극적으로 위탁한다는 풍조가 정착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일본적인 인사제도로 승진해 온 50대 후반의 인사부문 간부를 40대 이후의 버블세대로 업무 권한을 넘길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그 기업의 독특한 방법으로 업무를 수행해왔기 때문에 인수인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사업자에게 그 노하우를 요구하는 (= 아웃소싱) 동기가 강해졌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급으로 다양한 업무 시스템을 저렴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되었다. 급여계산, 근태관리 등의 아웃소싱 서비스도 일부 기능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시스템 도입을 계기로 중소 규모의 사업자들이 다양한 아웃소싱 서비스를 이용할 기회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핵심 사업에 우수한 인재를 집중시키고, 반복업무는 보다 싼 노동력을 이용(또는 외주화) 하는 유럽·미국형의 매니지먼트 방법이 일본에서도 주류가 되고 있다. 따라서 반복업무를 중심으로 기업의 부가가치에 기여하지 않는 각종 업무를 아웃소싱하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요즘 일본에서는 많은 산업이 저출산 고령화 속에서 중장기적으로 시장이 축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 중에서 총무·인사 업무의 아웃소싱 비즈니스 관련 시장은 "구조적으로" 성장하는 상황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당분간은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www.yano.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