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23일 목요일

스마트농업에 관한 조사결과(2022년)/야노경제연구소

스마트농업에 관한 조사결과(2022년)

【자료체재】

자료명:「2022년판 스마트농업의 현황과 장래 전망~생력화·고품질 생산을 실현하는 농업 IoT·정밀농업·농업로봇의 방향성

발간일:2022년 12월 26일

체 재:A4판 710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2022년 5월~12월

2. 조사대상:스마트농업 사업자, 농업생산법인<벼농사/농원예(채소·과수·화훼)>, 관련 단체·협회, 관할관청 등

3. 조사방법: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전화·e-mail 등을 이용한 취재조사 및 문헌조사 병용

<스마트농업 시장 용어정의>

본 조사에서 스마트농업이란, 기존의 농업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연계시킴으로써 생산 효율화와 농작물 고부가가치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농업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높은 농업생산성과 비용절감, 음식의 안전성과 노동의 안전 등을 실현하는 것이다.

대상분야는 ①재배지원솔루션, ②판매지원솔루션, ③경영지원솔루션, ④정밀농업, ⑤농업용 드론 솔루션, ⑥농업용 로봇이다.

일본 국내시장을 대상으로 하며 사업자 매출액을 기준으로 시장규모를 산출했다. 시장규모에는 농업용 POS 시스템, 농기계·드론 등 하드웨어는 제외한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①재배지원솔루션(농업 클라우드, 복합환경제어장치, 스마트물관리시스템), ②판매지원솔루션(농작물 판매처(식품 관련 사업자·JA) 업무를 ICT로 경감하는 시스템, 기상 데이터 등을 이용한 판매지원서비스 등), ③경영지원솔루션(농업용 회계소프트웨어, 농업법인용 회계지원서비스, 기상 데이터 등을 이용한 경영지원서비스 등), ④정밀농업(GPS 가이던스시스템, 자동조타, 로봇농기계시스템(스마트이앙기시스템, 로봇트랙터), 위성정보를 활용한 시스템 등), ⑤농업용 드론솔루션(드론을 이용한 농약·비료살포서비스, 포장센싱 등. 드론 하드웨어는 제외), ⑥농업용 로봇(설비형 로봇(접목로봇 등), 머니퓰레이터형 로봇(수확로봇 등), 어시스트형 로봇(파워어시스트슈트 등)

◆2022년도 스마트농업 일본 국내시장 규모 303억 엔 전망

~화학비료의 가격 급등에 따라 비료의 시비량을 저감하는 가변 시비 대응 이앙기, 드론과 위성영상에 의한 원격 센싱이 확대~

스마트농업 일본 국내시장 규모 추이와 예측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사업자 매출액 기준

주2. 시장규모는 농업용 POS 시스템, 농기계·드론 등 하드웨어는 제외한다.

주3. 2022년도는 전망치, 2023년도 이후는 예측치

1. 시장 개황

일본의 2022년도 스마트농업 시장규모는 전년도 대비 122.4%인 303억 200만 엔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2022년도는 이용자가 확대되고 있는 농업 클라우드, 포장의 물관리를 원격으로 할 수 있는 스마트물관리시스템 등의 재배지원솔루션이 시장을 견인, 화학비료의 가격 급등으로 시비량 저감으로 이어지는 드론과 위성영상에 의한 원격센싱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또,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하는 로봇농기계는 실증시험이 끝나 향후 판매가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2. 주목 토픽

화학비료의 가격 급등에 따라 가변 시비가 가능한 이양기, 드론과 위성영상에 의한 원격센싱을 이용한 가변 시비가 보급

2022년 이후 세계적인 곡물 수요 증가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더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영향으로 화학비료 원료의 국제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화학비료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가변 시비가 가능한 이양기, 드론과 위성영상에 의한 원격센싱을 이용한 가변시비시스템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가변시비시스템에 의해 작물의 생육 불량 부위에만 핀포인트로 비료를 살포할 수 있어, 생육 편차를 해소하는 동시에 비료 및 노동력 절감으로도 연결할 수 있다.

3. 장래 전망

일본의 2028년도 스마트농업 시장규모는 624억 3,400만 엔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한다.

다양한 데이터를 공유·활용할 수 있는 「농업 데이터 제휴 기반(WAGRI)」 「농기계 오픈 API」의 운용이 시작되어 스마트농업에 관한 모든 데이터 공유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향후에는 한층 더 데이터 공유화·연계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통신기술(5G, 로컬 5G)의 진전으로 스마트물관리시스템 등의 재배지원, 로봇농기계·원격센싱 등 정밀농업 등 스마트농업 전반의 보급 확대에 기대가 된다.

☞해당목차 바로가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