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23일 목요일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2년)/야노경제연구소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2022년)

【자료체재】

자료명:「2023년판 유아 관련 시장 마케팅 연감

발간일:2022년 12월 28일

체 재:A4판 375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 2022년 10월~12월

2. 조사대상: 유아·임산부·육아 지원 관련 사업자

3.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한 청취조사 및 문헌조사 병용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 용어정의>

본 조사에서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이란, 유아(0~2세)용 출산·육아용품과 식품, 의류품·일상용품, 육아 관련 잡지, 그림책, 완구 등의 유아 관련 용품, 관련 서비스(예비맘교실, 어린이집, 베이비시터)를 대상으로 산출했다. 또한 일부 3세 이상의 유아용 용품·서비스를 포함한다.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육아용품(젖병·공갈젖꼭지, 유아용 식기,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 스킨케어 관련 상품, 유아용 침대·아동용 침구, 유모차, 유아용 의자·유아용 식탁의자, 유아용 카시트, 아기띠), 식품(분유, 이유식), 의류품(유아복, 유아용 신발, 임부복), 출판물·완구(육아잡지, 그림책·지육책, 지육완구·유아용 완구), 관련 서비스(예비맘교실, 어린이집, 베이비시터)

◆2021년 유아용품 및 관련 서비스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0.9% 증가한 4조 3,513억 엔

~어린이집 시장의 견조한 증가로 해당 시장은 플러스 추이를 유지, 가속화되는 출생아수 감소의 영향으로 시장 환경은 더욱 어려워지다~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규모 추이



 

야노경제연구소 조사

주1. 유아 관련 용품은 메이커 출하금액 기준(일부 소매판매금액 포함), 관련 서비스는 사업자 매출액 기준

주2. 2022년은 전망치, 2023년은 예측치

주3. 유아(0~2세)용 출산·육아용품과 식품, 의류품·일상용품, 육아 관련 잡지, 그림책, 완구 등의 유아 관련 용품, 관련 서비스(예비맘교실, 어린이집, 베이비시터)를 대상으로 산출했다. 또한 일부 3세 이상의 유아용 용품·서비스를 포함한다.

1. 시장 개황

2021년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0.9% 증가한 4조 3,513억 엔으로 추계한다.

해당 시장은 견조한 어린이집 시장에 힘입어 플러스 추이를 보였다. 반면 유아용품·육아용품, 유아복·유아신발, 식품, 출판물·완구 중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외출 자제 등 부정적인 영향에 인한 수요 감소에서 회복세를 보이는 카테고리가 있지만, 출생아수 감소 속도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어려운 상황에 있다. 2022년부터 육아용 우유와 유아용 기저귀, 어린이용 시트를 비롯한 몇 가지 카테고리·상품에서 가격 인상 움직임을 보이면서, 최근 1~2년은 카테고리에 따라 시장 축소 속도가 둔화되거나 증가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2. 주목 토픽

상품 카테고리별 시장 회복 상황

육아용 우유 시장과 유아용 식품 시장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 순조롭게 성장해왔지만,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재택시간 증가에 따라 시간단축 니즈와 외출 수요 저하의 영향을 받아 감소세로 돌아섰다. 향후는 시간단축 니즈와 외출 수요의 회복에 따라 다시 확대 성장해 갈 것으로 보인다.

유아복 시장은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상업시설·점포 휴업과 영업시간 단축 등 점포판매 기회가 감소해 시장이 축소됐지만, 2021년은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행동 제한과 외출 자제 완화, 소매점·상업시설 영업 정상화 등의 영향으로 받아 소폭 반등했다. 또한 유아신발 시장에 대해서도 2020년 코로나19에 의한 외출 자제로 인해 외화 수요가 크게 감소하여 시장이 크게 축소되었으나, 2021년에는 외출 자제가 완화되고 외화 수요 및 점포 판매 회복 등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22년에도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출생아수 감소의 영향으로 큰 폭의 신장은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유모차 시장은 코로나19 사태로 마이너스 영향을 받아 시장이 크게 축소됐지만, 2021년부터 점차 외출 자제가 완화되어 유모차 이용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수요는 회복세에 있다.

3. 장래 전망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의 대부분은 출생아수 감소의 진행과 가속화에 따른 수요층 감소에 의해 장기적인 점감 추세에 있어, 국내 수요 확대에 기대를 가질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인바운드 수요와 국경 없는 EC 경유의 외부 수요 도입은 시장의 유지와 향후 성장에 필요 불가결하다.

최근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의 확대를 견인하고 있는 어린이집 시장에 대해서는 신장률이 둔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지만, 보육시설의 정비·확충에 의해서 견조한 추이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보육시설 정비·확충의 진전과 저출산 진행의 영향도 맞물려 많은 지역에서 어린이집 정원 충족률 저하, 어린이집 원아 수 감소를 볼 수 상황이다. 이 상황에 더해 보육시설 신규 개설이 정점을 달하면서 향후 어린이집 시장은 축소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아용품·관련 서비스 시장도 그 영향에 받아 축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해당목차 바로가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