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코드: R57202201 / 2016년 3월 25일 발행 / A4 23p
[리서치 내용]
TPP의 발행 혹은 일본/미국을 포함한 일부 비준국가의 선행발효는 2년 후가 될지 모르지만, 의류품 관련 기업, 즉 섬유 생산공장, 의류품 생산공장 등이 TPP 대응 오퍼레이션을 검토/구축한다고 하면, 그 2년이라는 기간은 상당히 짧다. 향후의 시장동향을 추측해 다른 기업보다 앞서 TPP에 관한 비즈니스 전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금 해당 과제에 정면으로 맞서 검토해야 할 시기이다.
특히, 본 리포트는 TPP 발효 시의 「미국의 의류품 관세」에 대한 상세내용을 처음으로 조사했다.
봉제기기의 톱 메이커인 JUKI 주식회사의 전 시장조사실장이자, 야노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인 오다 아키라 씨가 TPP 발효에 따른 베트남 의류품 생산시장의 영향을 상세하게 연구했다.
■게재 내용
1. TPP 가맹국의 의류품 시장으로서의 가치 분류
(그림) 세계 GDP 비율(2014년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014)
(그림) 의류품 수입 추이
2. 미국 의류품 시장의 개황
3. 일본 의류품 시장의 개황
(그림) 일본 의류품 수입 2015
(그림) 일본 의류품 수입
4. 의류품 생산 시장
(그림) 베트남 의류품 수출액
(그림) 베트남 의류품 국가별 수출 추이
(그림) 베트남 의류품 수출 2014년
5. 미국 의류품 소비시장의 문
6. 일본 의류품 소비시장의 문
7. 베트남 의류품 생산 시장 확대의 애로사항
8. 정리
<참고 자료>
(그림) 미국 직물 의류품 수입 2015년
(그림) 미국 니트 의류품 수입 2015년
TPP 대략 합의, 미국의 의류품 관세에 대하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