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6일 일요일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 -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 7사에 관한 조사결과(2020년)/야노경제연구소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 7사에 관한 조사결과(2020년)



【자료체재】

자료명:「2020 미중 마찰로 흔들리는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의 전망

발간일:2020년 10월 23일

체  재:A4판 190페이지


【조사요강】

1. 조사기간:2020년 8월 ~ 10월 초

2. 조사대상:이동통신 단말기 메이커·부품 메이커,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기업 외

3. 조사방법:당사 전문연구원이 직접 면담(국내·해외, 온라인 포함), 이메일 및 세미나 취재, 문헌조사 병용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

본 조사대상인 중국, 중국자본계 스마트폰 메이커 7사는 이하와 같다.

1. Huawei (華為技術)

2. OPPO(廣東歐珀移動通信)

3. VIVO (维沃移动通信)

4. Xiaomi (小米科技)

5. TRASSION (中国伝音科技)

6. Lenovo, MOTOROLA (Motorola Mobility)

7. ZTE(中興通迅)


※세계 핸드셋, 스마트폰 관련 참고자료

세계 휴대전화 계약 서비스 수·스마트폰 출하대수에 관한 조사결과(2020년)

https://www.yano.co.jp/press-release/show/press_id/2520.


<시장에 포함되는 상품·서비스>

스마트폰, 피처폰, 기지국


◆미중무역마찰에 따른 제재조치로 2021년 Huawei 핸드셋 세계 출하대수는 대폭감소를 전망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 등 타사는 증가될 전망, 한편으로 기지국용 비즈니스, 5G는 크게 지연될 가능성~


1. 조사결과 개황


2020년 스마트폰 세계시장은 원래 시장의 한계가 크게 느껴져 큰 증가를 기대할 수 없었던 가운데, COVID-19와 미중무역마찰의 영향으로,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COVID-19의 영향으로 특히 제2분기(2020년 4분기)에 세계경제가 크게 침체되면서 단말기 출하, 판매가 크게 감소해 제3분기 이후에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했지만 2020년에는 거의 모든 단말기 메이커가 전년미달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스마트폰 메이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2019년 핸드셋(스마트폰+피처폰) 세계 출하대수 상위 7사 중 5사가 중국계 메이커가 차지했다.


한편으로 2018년부터 계속되는 미중무역마찰은 2019년에 미국 상무부가 산업안전보국(BIS)의 「목록(Entity List)」에 중국 대형기업인 Huawei(화웨이)를 추가함으로써 세계 이동통신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후 제재조치가 강화되어 미국산 반도체 공급중단과 함께 미국산 기기를 이용해 제조된 반도체도 공급이 금지됐다. 또 스마트폰용 오픈소스 OS 업데이트도 불가능해져 과거 제품을 포함해 중국 외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도 대상이 됐다.


2. 장래 전망


미중무역마찰을 발단으로 한 제재조치는 계속되고 있지만, 2020년 Huawei의 핸드셋 출하대수에 대한 영향은 한정될 것으로 생각된다. 재빨리 경제활동이 활발해진 중국 시장에서는 판매가 회복되었지만, 제재조치의 일환으로 OS서포트가 종료한 시장에서는 일찍 매입량이 줄고 있다. 연말판매경쟁용으로 고급기기를 발표했지만, 연말판매경쟁을 향해서 동사 제품을 피하는 움직임이 표면화될 가능성이 있다.


2021년 이후에는 실매가격 9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 가격대 제품, 600달러 이상의 하이엔드 기기를 중심으로 제조가 어려워질 전망이며, 제재해제되지 않는 한 1분기(2021년 1-3분기)에서 반도체 재고가 소진돼 제품출하가 막힐 가능성이 높다. 제재가 계속될 경우에는 2021년 Huawei 핸드셋 세계 출하대수는 7,111만대까지 감소될 것으로 예측한다. 간신히 중국국내용으로 200달러 이하의 로엔드기를 제조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경합 타사와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별개의 문제다. 또, 이보다 더 심각한 것은 세계시장에서 점유율이 매우 높은 기지국 비즈니스로, 기지국용 반도체 공급을 없어짐으로써 5G 보급에 크게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