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2월 1일 목요일

유기반도체, 차세대-차세대 유기반도체 동향(2022년 7월 조사)(일본어판)/야노경제연구소

 <Concise Report>차세대 유기반도체 동향(2022년 7월 조사)(일본어판)

(일본어목차)次世代有機半導体の動向(2022年7月調査)


자료코드: R64201002 / 2022년 11월 15일 발행 / B5 41p (PDF로만 제공)

YDB회원 열람 불가


◆조사개요

본 조사리포트는 정기간행물 Yano E Plus 2022년 8월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리서치 내용


~플렉서블성을 유지하기 위해 구부리거나 웨어러블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전자부품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1. 유기반도체란

2. 주목받는 차세대 유기반도체

2-1. 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OFET)

2-2. 유기박막 태양전지(OPV)

2-3. 유기열전변환소자(OTE)

2-4. 유기반도체레이저(OLD)

3. 차세대 유기반도체 시장규모 예측

[그림·표1. 차세대 유기반도체의 일본 국내 및 세계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금액: 2020-2025년 예측)]

[그림·표2. 차세대 유기반도체 응용분야별 세계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금액: 2020-2025년 예측)]

4. 차세대 유기반도체 관련 기업·연구기관 대응 동향

4-1. 공립대학법인 오사카공립대학

(1) 네마틱 액정의 불순물 이온의 거동 및 회전 점성률 평가

(2) 유기 디바이스의 전자 물성평가

[그림1. OLED의 전형적인 정전용량 스펙트럼(그림에 나타낸 주파수 영역에서 드리프트 이동도 µn, µp, 2분자 재결합 상수 β를 결정했으며 국재 준위 분포는 µn, µp 온도의존성에서 구한다[6])]

(3) Time Stretched Pulse와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전자물성 고속측정

그림2. TSP와 FFT를 이용한 OLED의 드리프트 이동도 평가 시스템

(4) 기계학습을 통한 유기 반도체 전자 물 성예측

유기재료의 화학구조와 전자 물성의 관계를 기계학습시켜 부여된 화합물의 전자

4-2. 국립대학법인 교토대학

(1) 전자공역 개념의 변혁과 전자 물성을 연결하는 고밀도 공역의 과학에 도전

(2) "X"-Conjugation 실현과 공극을 전자로 메우기 위한 공역분자설계전략

[그림3. 새로운 물질 디자인 콘셉트: 공극을 전자로 메우기=새로운 전자공역 "X" – Conjugation]

(3) 시간분해 마이크로파 분광(TRMC)법에 의한 전자재료의 고속 스크리닝

[그림4. TRMC법의 실험장치]

(4)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반도체/절연체 계면에서의 전하 수송 평가·측정법 개발

[그림5. (a)FI-TRMC법의 개념도. MIS 소자에 10Hz 전압 인가 시의 (b)주입 캐리어 수 및 (c)공동 공진기로부터의 반사 마이크로파 시간 의존성]

4-3. 주식회사 KOALA Tech

(1) KOALA테크 비즈니스 모델

① KOALA Tech의 발자취

[그림6. KOALA Tech의 발자취]

② 밸류체인과 지적재산 포트폴리오

[그림7. 밸류체인과 지적재산 포트폴리오]

③ 사업화의 이정표와 사업계획

[그림8. 사업화의 이정표]

[그림9. 사업계획]

(2) KOALA테크 핵심기술

① OSLD의 특징

② 레이저를 구성하는 3요소

[그림10. 레이저를 구성하는 3요소]

(a) 이득(게인) 매질

[그림11. 개발된 레이저 색소]

(b) 공진기 구조

[그림12. 유기 반도체 레이저에 사용되는 공진기 예]

(c) 에너지 공급원

[그림13. 에너지 공급원에 따른 차이. 광여기형(좌)과 전류여기형(우)]

③ OSLD 디바이스 설계

[그림14. OSLD의 디바이스 구조의 단면 SEM 상[1]]

[그림15. OSLD의 발진 특성[1]]

4-4. 국립대학법인 도쿄공업대학

(1) 액정성 재료 특성

[그림16. 반도체 재료의 전하 이동도]

[그림17. 액정분자의 구조와 응집 형태]

[그림18. 다양한 액정 상]

[그림19. 결정재료로 이용 가능한 액정]

(2) 고차의 액정 상(SmE)을 발현하는 액정성 Ph-BTBT 유도체

[그림20. SmE를 발현하는 액정성 Ph-BTBT 유도체]

(3) 액정성을 이용한 고속성막

[그림21. 액정 상 온도의 딥코트법 모식도]

4-5. 국립대학법인 나라첨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NAIST)

(1) 분자접합에 의한 열류 제어

[그림22. 바구니형 단백질 모식도(좌)와 CNT/바구니형 단백질 SEM 상(우)]

[그림23. 단분자 접합을 이용한 열류제어 모식도]

[그림24. CNT 방적사를 꿰맨 ‘발전하는 천’]

(2) 새로운 열전현상으로서의 거대 제벡효과

[그림25. 거대 제벡효과 개념도: 분자성 고체에 특유의 강한 전류-열류 상호작용]

(3) 폴리머 블렌드 막을 이용한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 개발

[그림26. 폴리머 응집체 중에서의 질서구조(좌)와 광조사 전류계측 AFM(우)]

(4) 기체-액체 계면으로 형성되는 고배향 폴리머 박막을 이용한 유기 트랜지스터 제작

[그림27. FTM법에 의한 고배향 폴리머 반도체 박막 제작방법]

4-6. 국립대학법인 히로시마대학

(1) 폴리머 반도체의 배향 제어와 특성

[그림28. 폴리머 반도체의 배향 양식]

(2) 측쇄 설계를 통한 배향 제어

[그림29. PTz BT의 측쇄 구조와 2차원 X선 회절 패턴]

(3) 폴리머 태양전지의 특성

[그림30. PTzBT를 이용한 유기박막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의 발전층 막 두께 의존성]

4-7. 국립대학법인 야마가타대학

(1) 식품 랩과 같은 극박 센서 시트

[그림31. 준정전계 센서의 동작 원리]

[그림32. 유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작 프로세스 플로우]

[그림33. 극박 센서 시트 제작 프로세스 플로우]

(2) 길고 부드러운 플렉시블 리본센서

[그림34. 64개의 센서를 배치한 플렉시블 리본센서 실물 사진]

[그림35. 플렉시블 리본센서에서의 FPM방식 원리]

5. 차세대 유기반도체 장래 전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