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1일 일요일

폴리에틸렌, PE - 2021년판 폴리에틸렌 시장의 철저 분석/야노경제연구소

 <일본시장조사보고서>2021년판 폴리에틸렌 시장의 철저 분석(일본어판)

(일본어목차)2021年版 ポリエチレン市場の徹底分析


자료코드: C63107600 / A4 215p / 2021. 07. 30 


본 조사 리포트에서는 폴리에틸렌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 시책을 철저히 조사하는 동시에 각종 폴리에틸렌의 수지별, 수요분야별 등의 수요 동향을 밝혔다.


◆자료 포인트

• 촉매, 중합 프로세스, 폴리머 설계에 입각한 고기능 PE 개발로 톱엔드의 영역 확장을 목표로 하라!

·성형가공성과 충격강도의 양립이 요구되어 온 L-LDPE, 스미토모화학 EPPE에 이어 JPE 「심포테크™」, 프라임 폴리머 「에볼류®E」가 출시, JPE에서는 메탈로센계 HDPE 「하이포테크™」도 투입

·MDP '하이밀란®' 스킨팩 포장, ENEOS NUC · HVDC 케이블용으로 시장 개척

·일본에서는 2021년도 3Q에서 4Q로 미쓰이화학이 처음으로 바이오매스 나프타를 활용, 다우케미칼은 C8L-LDPE 'ELITE™'로 바이오매스 그레이드를 전개

·머티리얼 리사이클은 모회사를 포함한 각 PE 메이커가 물밑에서 모색, 수지 메이커만이 가능한 노하우를 살려 수평 리사이클의 실현을!

·미쓰비시케미칼·ENEOS의 케미칼 리사이클이 2023년 스타트, 케미칼 리사이클은 미쓰이화학, 스미토모화학도 사업화를 검토, '리사이클이야말로 가치'라는 세대를 타깃으로 한 최종제품의 가격전략도 중요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 포인트


제1장 폴리에틸렌 시장의 전망


녹색성장전략과 플라스틱자원순환촉진법 등 플라스틱 업계가 변혁기에 돌입

다우케미칼은 C8L-LDPE 「ELITE™」로 바이오매스 그레이드를 전개

일본에서는 미쓰이화학이 처음으로 바이오매스 나프타 활용 및 바이오PP의 사업화를 추진

수지 메이커만이 할 수 있는 머티리얼 리사이클로 수평 리사이클의 실현을!

반복 리사이클을 가능하게 하는 그레이드 개발도 과제

  (표) 화학분야 대기업의 리사이클 대응 현황

미쓰비시케미칼·ENEOS의 케미칼 리사이클이 2023년 시작

'리사이클이 곧 가치'라는 세대를 타깃으로 한 최종제품의 가격 전략도 중요

촉매, 중합 프로세스, 폴리머 설계에 입각한 고기능 PE 개발로

톱엔드의 영역 확장을 노려라!


제2장 종류별 폴리에틸렌 시장의 동향


1. HDPE 시장

  2020년 일본 HDPE 시장 전년대비 94.2%, 코로나에 더하여 비닐봉투 유료화가 직격탄

    (그림·표) HDPE 수요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일본의 HDPE 생산능력은 2018년부터 105.6만t/년으로

    (표) HDPE 메이커 각 사의 플랜트 체제

  JPE의 신브랜드·메탈로센계 HDPE 「하이포테크™」는 소형병에 채택

  프라임 폴리머 '에볼류®H' 등 박육·경량화를 위한 제안 활동 활발화

    (표) HDPE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표) HDPE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필름용 HDPE 시장 12만t까지 축소

  수입 PE와 경쟁하기 어려운 광학용 보호필름용 전개로 전환

    (표) HDPE 메이커별 필름·점유율 추이

    (표) [2016~2020년 폴리올레핀 필름의 연도별 출하 상황]

  블로우용에서는 반복 리사이클이 가능한 내구성 향상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

    (표) HDPE 메이커별 중공성형·점유율 추이

  멸균병이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PET병용 마개는 HDPE가 표준으로

    (표) HDPE 메이커별 사출성형·점유율 추이

  2020년 파이프용은 건설수요 침체로 인해 전년도에 못 미쳐, 2021년에도 상황에 따라 마이너스 추이

    (표) HDPE 메이커별 파이프·점유율 추이

  섬유용은 실이 가늘어질수록 클린도가 요구되므로 국내 PE가 여전히 주체

    (표) HDPE 메이커별 섬유·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필름·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중공성형·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사출성형·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파이프·점유율 추이

    (그림) HDPE 메이커별 섬유·점유율 추이

    (표) 메이커 각 사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19년)

    (표) 메이커 각 사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0년)

    (표) 메이커 각 사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1년 전망)

    (표) 메이커 각 사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2년 예측)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17년~2020년) ※전년대비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17년~2020년) ※구성비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17년~2020년) ※전년대비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17년~2020년) ※구성비

2. LDPE 시장

  2021년 5월 JPE 가시마 튜블러 라인 정지로 국내 능력은 121.7만t/년으로

    (그림·표) LDPE 수요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표) LDPE 메이커 각 사의 플랜트 체제

  LDPE 시장은 필름 중심으로 완만한 축소 추세가 계속

    (표) LDPE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표) LDPE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필름용으로는 수축, 마스킹, 보호 용도에 각 사 주력

    (표) LDPE 메이커별 필름·점유율 추이

  가공지용은 저취(低臭), 저이미성(低異味性)에 더해 박막화 니즈도 증가

    (표) LDPE 메이커별 가공지·점유율 추이

  ENEOS NUC가 전선피복용 컴파운드로 적극적인 설비투자를 추진

  확대되는 광섬유에서는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PE에는 기계강도 향상 요청도

    (표) LDPE 메이커별 전선피복·점유율 추이

    (그림) LDPE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그림) LDPE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그림) LDPE 메이커별 필름·점유율 추이

    (그림) LDPE 메이커별 가공지·점유율 추이

    (그림) LDPE 메이커별 전선피복·점유율 추이

    (표) 메이커 각 사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19년)

    (표) 메이커 각 사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0년)

    (표) 메이커 각 사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1년 전망)

    (표) 메이커 각 사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2년 예측)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17년~2020년) ※전년대비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17년~2020년) ※구성비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17년~2020년) ※전년대비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17년~2020년) ※구성비

3. EVA, 에틸렌계 코폴리머 시장

  2021년 5월 JPE EVA 생산 종료, 연내까지 재고 판매 계속

    (그림·표) EVA 수요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표) EVA, 에틸렌계 코폴리머 플랜트 체제

  중국에서 태양전지 버블, 봉지재용 수출 대응에 적극화하는 방향도 있는가 하면 관망하는 메이커도

    (표) EVA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표) EVA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L-LDPE로의 수요 전환이 계속되고 있지만, 필름용에서는 저온 히트씰성으로 인해 꾸준한 수요

  자동차 전선용에서는 저비중과 유연성이 평가되며 엄격한 처리부분에 채택

    (표) EVA 메이커별 필름·시트·점유율 추이

  기타 에틸렌계 코폴리머는 안정적인 수요 추이가 계속

    (그림) EVA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그림) EVA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그림) EVA 메이커별 필름·시트·점유율 추이

    (표) 메이커 각 사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2019년)

    (표) 메이커 각 사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2020년)

    (표) 메이커 각 사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2021년 전망)

    (표) 메이커 각 사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2022년 예측)

    (표) EVA 수출 추이(2017년~2020년) ※전년대비

    (표) EVA 수출 추이(2017년~2020년) ※구성비

    (표) EVA 수입 추이(2017년~2020년) ※전년대비

    (표) EVA 수입 추이(2017년~2020년) ※구성비

4. L-LDPE 시장

  필름에 사용되는 셰일가스 유래 PE는 전체적으로는 수 %에 그치고 있으나

  수입량이 증가 추세라는 견해도 있어 향후 동향에 주목

    (그림·표) L-LDPE 수요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L-LDPE 생산능력 97.8만t/년, 2015년 이후 증감 없어

    (표) L-LDPE 메이커 각사 의 플랜트 체제

  프라임폴리머, JPE, 스미토모화학에서 점유율 80%를 넘는 한편

  다우케미칼재팬은 HAO-L-LDPE 중심으로 점유율 확대를 도모

    (표) L-LDPE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표) L-LDPE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표) HAO-L-LDPE 주요 제품 일람

  성형가공성과 충격강도의 양립이 요구되어 온 L-LDPE

  스미토모화학 EPPE에 이어 JPE '심포테크™', 프라임 폴리머 '에볼류®E' 출시

  점착필름용에서는 박육화, 리사이클성 향상과 PP 대체가 되는 레인지업 대응이 과제로

    (표) L-LDPE 메이커별 점착필름·점유율 추이

  일반필름용에서는 C4 및 C6L-LDPE를 대체하기 위해

  JPE '신포테크™'를 전방위로 전개

    (표) L-LDPE 메이커별 일반필름·점유율 추이

  가공지용은 액체 소형 봉지용 등으로 각 사 연구개발에 주력

    (표) L-LDPE 메이커별 가공지·점유율 추이

    (그림) L-LDPE 메이커별 총 출하량·점유율 추이

    (그림) L-LDPE 메이커별 국내 판매량·점유율 추이

    (그림) L-LDPE 메이커별 부착필름·점유율 추이

    (그림) L-LDPE 메이커별 일반필름·점유율 추이

    (그림) L-LDPE 메이커별 가공지·점유율 추이

    (표)메이커 각 사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19년)

    (표)메이커 각 사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0년)

    (표) 메이커 각 사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1년 전망)

    (표) 메이커 각 사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2년 예측)

5.V-LDPE, 플라스토머 시장

  JPE '커널™' 풀가동… 설비 증강 검토

    (표) 메이커 각 사의 V-LDPE, 플라스토머의 주요 라인업

    (그림) 각 사의 V-LDPE·플라스토머의 밀도 영역


제3장 폴리에틸렌 메이커의 동향과 전략


니혼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품 개발력에 더해 순환경제 대응에서도 국내 시장을 견인

  JPE에서 취급하는 바이오매스 PE가 식기용 세제 리필용기로 사용

  크롬계 촉매의 강점을 살려 PFT나 클린 그레이드의 압도적 점유율을 더욱 확대

  메탈로센계 HDPE 「하이포테크™/HIFORTEC™」 출시에 의해 블로우 중심으로 수요 개척

  필름과 가공지에서는 구축한 점유율을 더욱 확대하기 위한 개발에 착수

  사출성형과 중공성형에서는 일정한 수요에 대해 안정적 공급을 계속

  EVA 생산 종료에 따라 2021년 5월 이후 재고 판매로 전환

  에틸렌계 특수 코폴리머는 개질제 중심으로 판매량이 안정 추이

  강도 및 성형성을 양립한 '심포테크™/SYMPHOTEC™'는 2021년도 내 양산

  C4, C6에 더해 '하모렉스'나 '커널' 라인업으로 니즈를 확보


주식회사 프라임폴리머

  '에볼류®'의 점유율 확대에 더해 환경대응에도 주력

  바이오매스 원료와 리사이클 등 모회사와 함께 환경 대응을 추진

  PET병 뚜껑에서는 환경 대응 그레이드 개발을 목표

  HDPE의 전개에서는 「하이젝스®」와 「에볼류®H」의 확대 판매에 주력

  '에볼류®E'는 2023년 시장에 투입

  환경문제로 인해 종이용기 채택이 증가함에 따라 압출 래미네이트에도 순풍

  「에볼류®」를 중심으로 「울토젝스®」 「네오젝스®」를 전개


스미토모화학 주식회사

  해외 거점에서는 스케일 메리트를 살린 사업 운영을 실시

  국내에서는 높은 품질 공급에 부응하는 차별화 제품의 전개를 강화

  화학 리사이클, 머티리얼 리사이클의 양면에서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대응을 실시

  2025년에 쓰레기 유래의 에탄올을 원료로 한 폴리올레핀 출시를 목표

  TPC는 LDPE의 식품 포장재용 외에 EVA로 태양전지 봉지재용의 확대 판매에 주력

  Petro Rabigh사에서는 제1기 경험을 살려 제2기의 안정 가동으로 연결

  EPPE의 판매량은 안정 추이, 가공성과 강도의 밸런스가 사용자로부터 평가

  가공지에서는 저취 등의 품질 요구에 대응해 국내 메이커로서의 우위성을 유지 확대

  전기차 판매량은 낮은 추이가 계속


주식회사 ENEOS NUC

  고전압화하는 전력 케이블에 맞는 제품 개발을 추진

  ENEOS 중계에서 '전선절연재(초고압, 고압특수전선 용도)'가 기술우위성이 있는 제품으로 자리 매김

  HVDC 케이블용에서는 특수한 절연 성능으로 각종 방식 및 허용 온도대를 모두 커버

  2030년에 아시아의 HVDC 케이블용 점유율 50% 확립을 목표

  통신 네트워크의 대용량화에 따라 광섬유용 수요가 호조로 확대

  초다심화하는 광섬유용 개발에도 주력

  전선피복용과 함께 필름 등의 전방위로 적극적인 확대 판매

  머티어리얼 리사이클 체제의 스킴 구축을 검토


도소 주식회사

  '클린성' '기능성' '환경성'을 키워드로

  사용자와 함께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개발을 추진

  2019년 폴리머 연구개발을 집약한 신 연구동 준공, 각종 폴리머 시너지 창출

  HDPE의 중공 용도는 반도체 세정 약액용 등 클린용기용으로 호조 추이

  앞으로도 사용자에게 가치를 평가받는 용도 개척을 추진

  LDPE 가공지용 판매량은 앞으로도 안정적인 추이를 예상

  EVA는 2018년으로 국내 태양전지 봉지재용 판매가 대부분 종료

  현재는 고VA품 수출이 증가세

  PET나 PA 등 반복 리사이클성이 뛰어난 수지 개질제 '메르센®S'

  재료로서의 판매 외에 사용자 가치를 최대화하는 시스템 마련을 검토

  9종 9층의 대형 인플레이션 설비를 활용해 사용자와 일체가 된 개발을 추진

  초고분자량 PE "데카밀렌"은 접동재나 전지 분리막 등으로 전개해

  2021년도 중에 채택을 목표


아사히카세이 주식회사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는 생산체제를 기반으로

  수익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프로덕트 믹스 모색

  기존 사용자와 함께 시장 트렌드에 대응한 용도 개척 추진

  AMEC로부터의 에틸렌 조달을 파악하면서 PE 생산체제를 최적화

  첨가제가 없는 '클레오렉스™'는 광학용 보호필름용의 확대 판매에 주력

  HDPE 채산성 관점에서 축소 균형

  LDPE 중 채산성 확보가 어려운 용도보다 EVA 확대 판매에 주력


게이요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생활에 밀착된 니즈를 파악하면서 사용자 개척을 추진

  사업 상황에 관계없이 필요한 보전 보수는 앞으로도 계속 실시

  2021년의 판매량은 필름용이 전년 감소 반동으로 회복되는 한편

  블로우용이 호조로 확대, 낙하충격특성을 강화한 'B5302'가 농약용기 등에 채택

  플랫얀·모노필라멘트 등의 고점유율 용도로 확대 판매 추진


미쓰이·다우폴리케미칼 주식회사

  타사에서 할 수 없는 사용자 니즈에 대응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개발을 추진

  2019년 상호변경 후에도 스페셜리티 제품을 중심으로 한 고객에게 도움이 되는 기본방침은 지속

  '하이밀란®'은 스킨팩 포장용으로 대형 유통에서 식품손실 감소 등에서 평가

  필름 메이커, 가공기 메이커, 유통과 함께 식품 포장의 변혁을 추진

  EVA 국내 수요 안정, 수출은 태양전지 봉지용으로 증가

  '뉴클레르*'는 식품 포장재용 판매가 견조하게 추이

  CMPS®'는 반도체 수요와 함께 증가 경향, 향후에도 정력적으로 고부가가치 전개를 추진


다우케미칼재팬 주식회사

  식물 유래, 모노머티리얼, 재생수지 사용 등

  환경 대응 그레이드를 적극 투입

  세계적으로 약 1,000만t/년 PE 제품 생산능력 보유

  미국 텍사스주의 셰일가스 유래 에틸렌 플랜트에서는 200만t/년으로 능력 증강

  제조법, 촉매, 밀도 등 다양한 라인업과 일본 시장용 그레이드 개발로

  국내 사용자의 높은 수준의 니즈에 대응

  산업포장, 식품포장, 위생재료 등 주력 용도의 요구에 적합한 그레이드 제안

  이축연신 PE, 바이오 PE, 재생수지 사용 그레이드 등의 개발에 더해

  북미에서의 포장재의 매장 회수~리사이클 시스템 등 환경을 의식한 사업 전개를 진행

  각종 스페셜리티 제품 제안을 통해

  주력 그레이드에서는 대응하기 어려운 니즈에 주력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