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14일 화요일

알루미늄 업계의 탄소중립을 향한 동향과 전망(일본어판)/야노경제연구소

 <일본시장조사보고서>알루미늄 업계의 탄소중립을 향한 동향과 전망(일본어판)

(일본어목차)アルミニウム業界のカーボンニュートラルに向けた動向と展望

자료코드: C64113900 / A4 133p / 2023. 02. 14

알루미늄 판재나 압출재 등을 제조할 때의 CO2 배출량은 신지금(新地金) 제조분이 약 90%를 차지한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제련 메이커에서는 신지금 제조 시에 사용하는 방대한 전기를 재생에너지로 하는 등의 대응 진행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신지금이 생산되지 않아 해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는데, Scope3의 CO2 배출 감소에 의욕적인 자동차 분야와 건축 분야에서 '그린 알루미늄'의 국내 도입이 서서히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그린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원료 코스트의 상승은 물론 생산효율의 저하 등을 우려하는 견해도 있다. 실제로 일본 알루미늄 업계 내에서도 그린 알루미늄 활용에 대해 신중한 자세를 취하는 기업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자원 순환을 통한 저탄소화 수단으로서 수평 재활용 대응이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는 공정 내 단재 등을 사용한 수평 재활용이 대부분이지만, 폐제품을 대상으로 한 수평 재활용 시스템 구축을 위한 움직임도 등장하고 있다. 시중 알루미늄 스크랩의 안정적 조달 등 과제는 많지만, 철도 차량이나 태양전지, 수지 새시 등에서의 대응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동향이 주목된다.

본 리포트에서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공청회를 실시하고, 해외 기업 사례 및 동향도 참고하면서 일본 알루미늄 업계의 탄소중립 대응, 알루미늄 재활용 기술, 그린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재생지금의 동향, 기업 대응과 향후 사업 전개의 방향성 등을 밝히는 동시에 알루미늄 업계의 탄소중립을 둘러싼 환경과 전망에 대해 분석한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일본 알루미늄 업계의 탄소중립을 향한 동향 및 전략, 해외의 그린 알루미늄 동향을 조사하는 동시에 알루미늄 제품 최종 유저의 동향과 탄소중립을 향한 대응 및 전략을 밝힌다.

• 조사대상: 알루미늄 제조업체, 그린 알루미늄, 건축 및 건설산업, 제관 및 음료산업, 자동차산업

• 조사방법: 야노경제연구소 전문 조사원의 대면취재를 바탕으로 문헌조사 병용.

• 조사기간: 2022년 11월~2023년 1월

◆자료 포인트

자원순환이 가져올 소재산업의 ‘새로운 경치’

• Scope 3 배출량 파악이야말로 탄소중립의 출발점

• 주조 수요의 축소를 예상하고 전신재(展伸材) to 전신재의 움직임이 본격화될 조짐

• 수평 재활용 과제는 이합금의 혼재와 혼입, 해결책으로서 기대되는 LIBS

• 수요 증가와 CO2 배출량 삭감은 떼 놓을 수 없는 사이, 사용자로부터 계속 선택받기 위해서는 공급망 전체 차원의 대응이 중요

• 불투명한 세계정세에 좌우되는 신지금에 우려, 합금 유저 중에는 러시아산 기피 움직임도

•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 알루미늄 공급이 세계적으로 확대, 불활성 양극 등 차세대 전해 기술의 실용화도 착착 진행

• 전략적 조달을 위해 공급업체와 '바이어 이상'의 관계 구축을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 포인트

제1장 알루미늄 산업의 탄소중립을 향한 동향과 전망

자원순환이 가져올 소재산업의 ‘새로운 경치’

  '통제가 미치지 않는' Scope3의 배출량 파악이야말로 탄소중립의 출발점

  주물 수요의 축소를 전망해 전신재 to 전신재로의 순환 이용을 향한 움직임이 본격화 조짐

  불투명한 세계정세에 좌우되는 신지금에 우려, 합금 유저 중에는 러시아산 기피 움직임도

  (그림)알루미늄 합금/알루미늄 지금 수입량 2021년~2022년(対러시아)

  (그림)알루미늄 합금/알루미늄 지금 수입가격 2021년~2022년(対러시아)

  재활용 우등생에서 자원순환 리더로

  유저로부터 계속 선택받기 위해서는 공급망 전체 차원의 대응이 중요

  Apple도 iPhone에 100% 재활용재 사용, 리포트에는 각 제품의 PCF도 게재

  (그림)100% 재활용 알루미늄을 사용한 AppleWatch·iPhoneSE의 PCF

  그린 알루미늄의 전략적 조달을 위해 공급업체와 '바이어 이상'의 관계 구축을

제2장 알루미늄 산업의 동향

  신지금이 없는 일본에서는 ‘자원순환’이 탄소중립 실현의 가장 중요한 과제

2-1. 알루미늄협회의 탄소중립정책

    (표)알루미늄 VISION 2050의 포인트

    (표)탄소중립을 위한 시책

    (표)일본알루미늄협회가 전망하는 혁신적 기술개발

  수평 재활용 확대에는 시중 회수 스크랩의 스킴 구축이 불가결

  Can to Can, Sash to Sash 외에 전신재 to 전신재에서도 대응 시작

  재활용의 추가 확대에는 선별 프로세스의 정밀도·속도 향상이 요구된다

    (그림)전신재의 자원순환사용률 목표

    (표)전신재 순환이용에서의 과제

    (그림)알루미늄 전신재의 순환사용률 향상의 길

    (그림)알루미늄전신재 제조와 관련된 CO2 배출의 장기적인 삭감 전망

  수요 증가와 CO2 배출 감소는 떼 놓을 수 없는 사이

  알루미늄 수입처의 전략적 조달(에너지원 엄선)로 Scope3에 주시

2-2. 압연업계 동향

    (표)알루미늄 합금 종류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 알루미늄 공급 확대가 세계적으로 확대

  불활성 양극 등 차세대 전해 기술의 실용화도 착착 진행

2-3. 해외동향

    (표)알루미늄 생산량(2014~2021년)

  국제알루미늄협회는 증가하는 수요에 비례해 CO2 배출량을 줄이는 로드맵을 전개

  Mission Possible Partnership과도 협동하여 넷제로 알루미늄을 제조

    (그림)1차 알루미늄 탄소발자극의 B2DS에 따른 시나리오(tCO2e/tAI)

    (그림)2050년까지의 CO2 배출량 삭감 추이

    (표)IAI 로드맵에서 탈탄소로 향하는 길

    (표)구미·중동 알루미늄 업체 탈탄소 동향의 일례

제3장 알루미늄 메이커의 탄소중립전략

  재생에너지, 재활용, 그린 알루미늄의 조달을 기둥으로 CN의 실현을 전망

    (표)주요 압연기에 의한 탄소중립 목표

3-1.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탈탄소화

  연신재 재활용과 주물 측면의 수요 균형 붕괴에 주의

  한층 높은 자원 순환에는 이합금종의 혼재와 이금속의 혼입이 향후 과제

3-2. 알루미늄 재활용

    (표)알루미늄소재 고도자원순환시스템 구축사업

  2040년 압연 회수량은 1,140,000t, 2050년은 1,353,000t으로 예측

  일본 압연업체도 재활용 확대를 중기경영계획에 포함

    (표)품목별 알루미늄 스크랩 회수량 전망

    (표)용도별 알루미늄 스크랩 회수량 전망

    (그림)품목별 알루미늄 스크랩 회수량 전망(그래프)

    (그림)용도별 알루미늄 스크랩 회수량 전망(그래프)

  신지금 제조의 에너지 믹스는 2021년에 거의 40%가 수력발전

3-3. 그린 알루미늄 조달

    (표)알루미늄 생산의 지역별 에너지 믹스(2021년)

    (표)알루미늄 생산의 지역별 에너지 믹스(2017년)

    (표)일본 알루미늄 잉곳(합금 제외) 수입량

    (표)일본 알루미늄 합금괴 수입량

  책임 있는 원료의 제조를 담보하는 ASI 인증을 통한 세계공통표준이 침투

    (표)ASIPS 인증 요건

    (표)일본 압연업체 동향

제4장 알루미늄 사용자 동향

  건설·수송업계를 중심으로 저탄소 제품 수요가 확대

4-1. 알루미늄캔 메이커 및 음료 메이커

  폐알루미늄캔의 안정 조달에는 해외 수출에 대한 대책이 중요

    (표)알루미늄캔 재활용 추이

    (그림)알루미늄캔 재활용 추이

    (표)제관 메이커의 알루미늄 동향

    (표)음료 제조업체의 알루미늄 동향

4-2. 건설·건축업계

  X선 등을 이용한 선별기술 개발로 건설업계 수평 재활용 추진

  해외를 통한 재생재 조달 루트, 재활용로 도입, 기업에 따라 대응이 다양

    (표)건축자재 메이커의 알루미늄 동향

4-3. 자동차

  EV화는 바퀴 주변 부품을 비롯한 알루미늄 재료의 순풍이 된다

  ELV 지령 개정판은 Closed Loop 구축에 대한 추가 압박감

    (그림)닛산자동차의 알루미늄 부품, 클로즈드 루프 재활용

    (그림)알루미늄 절삭 찌꺼기의 재사용 사례

    (표)일본 OEM의 그린 알루미늄·알루미늄 재활용 동향 일례

    (표)해외 OEM의 그린 알루미늄 재활용 동향 일례

    (표)미국·한국 OEM의 그린 알루미늄·알루미늄 재활용 동향 일례

4-4. 신칸센 차량

제5장 알루미늄 산업 관련 기업의 전망과 전략

주식회사 UACJ

  2030년도에는 Scope1,2에서 CO2 배출량 30% 삭감, 2050년에는 CN 실현

  공급망 전체에서의 CO2 배출 최소화를 목표

  알루미늄캔재를 자사의 ‘성장기반’으로 설정해 태국과 미국에서의 공급체제를 강화

  Scope1, 2는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 제조소에서의 에너지 절약 추진 등을 통해 목표 달성을 지향

  일본계 압연 메이커 최초의 Aluminium Stewardship Initiative 인증을 2022년 3월에 취득

  공급망에서의 CO2 배출량 삭감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재활용 기술 심화에 힘쓰고

  알루미늄캔 이외의 수평 재활용 확대를 목표

  도요제관, 산토리와 협동하여 CO2 배출량 60% 삭감, 재활용재 100% 알루미늄캔 실현

일본경금속그룹

  알루미늄을 핵심으로 한 비즈니스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해

  폭넓은 영역에서 서큘러 이코노미에 기여

  각 사업의 균형 잡힌 구성비로 그룹의 힘을 결집하는 체제 확립

  그린 신지금과 스크랩 활용 확대를 통해 순환형 공급망 구축을 목표

도요알루미늄 주식회사

  그룹 창립 100주년인 2031년 CO2 배출량 40% 감축

  2023년 4월 주식회사 UACJ제박과 경영통합 예정

  품질·글로벌 경쟁의 강화를 통해서 일반박의 공급 유지, LiB용 박의 공급 확대 양립을 목표

  군마 제조소에서는 전사보다 높은 2030년도 CO2 배출량 48% 삭감으로 목표 설정

  재생에너지 활용 등의 내용을 마스터 플랜으로 각 제조소에 수평 전개도 주시

  Scope3에서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그린 알루미늄 조달을 검토

  수평 재활용에서는 가공 찌꺼기 활용과 더불어 PCR 실현에도 힘쓸 방침

하리타금속 주식회사

  2030년에는 CO2 배출량을 2020년 대비 42% 삭감하는 목표를 설정

  재활용과 선별기술을 강점으로 알루미늄 제품의 수평 재활용 전개

  '알루미늄 2차 합금 제조'에서 '리사이클'로의 조기 이행이 지금의 사업기반 강화로 연결

  CO2 배출량 삭감을 위해서 ‘에너지 절약’, ‘창조 에너지’, ‘에너지 절약’을 추진

  지하철 to 지하철에서 신칸센 to 신칸센은 Car to Car를 주시한 한 발 앞선 대응

  알루미늄 업계에서는 합금○○계 to ○○계의 수평 재활용도 활발해질 것이라는 견해

YKK AP 주식회사

  '재료 전환'을 Scope3의 핵심으로 설정, 시중 회수재 재활용에도 주력

  2021년 6월 탄수중립프로젝트 출범, CN 기술개발 강화

  2021년도 Scope1+2의 CO2 배출량은 329천t-CO2, 향후 태양광 발전의 추가 증설로

  빌딩용 알루미늄 건재 상품의 새로운 제조 거점, 사이타마 신공장은 2023년 7월부터 가동 예정

  Scope3에서는 ‘구입한 제품·서비스’가 90%, 이 중 알루미늄재는 87%를 차지

  2023년 9월 재활용로 가동 예정, 2030년도 알루미늄 재활용률 100%로

후지섀시 주식회사

  CN을 순풍으로 CO2 삭감을 향한 대응에 박차

  sash to sash를 축으로 그린 알루미늄을 포함한 자원순환 확대로

  2년 이내의 SBT 인정 취득을 목표로 2022년 2월에 약정서 제출

  해외를 포함한 재활용 루트를 검토하여 시중 회수를 통한 알루미늄 재활용 실현을 목표

  건물 옥상이나 차고에 태양광 패널 설치를 통해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 추진

  2022년도에는 그린 알루미늄을 실증실험적으로 조달

  향후에는 재활용재와 병용하여 새로운 사용 확대를 목표

주식회사 다케나카공무점

  업계에 앞서 ‘네거티브 이미션’에 주목

  2023년 1월 2023년도 내 SBT 인정 취득을 목표로 발표

  Scope3에서는 ZEB의 추진과 ECM 콘크리트의 사용에 의해 라이프사이클 CO2 제로를 목표

  2021년 시공 시 원단위는 8.3CO2t/억 엔으로 목표치보다 낮은 수준을 달성

  강점으로 하는 지하공법을 살려 공기단축을 통한 에너지 절약 실현

  CO2 배출량을 더욱 줄이기 위해 탄소 네거티브 콘크리트 공동개발에 주력

  고로강에서 전로강으로의 이행을 검토, 목건재·친환경 덕트의 이용도 촉진

가와사키중공업 주식회사

  수소 발전을 축으로 한 ‘탄소중립전략’을 전개

  수소 전력 등의 제공을 통한 공급망 전체의 저탄소화도 주시

  CO2 FREE, Waste FREE, Harm FREE를 기둥으로 한 Kawasaki 지구환경비전 2050 책정

  환경경영활동기본계획 2022를 통해 'CO2 배출량을 2022년부터 3년간 1.5만t 삭감'

  Scope1, 2를 대상으로 2030년까지 국내에서 Net Zero 실현을 목표

  Scope3에서는 카테고리11을 중요 과제로 삼아 CO2 배출량 삭감에 주력

  수소운반 과제를 해결하고 2022년 2월 세계 최초 액화수소 국제간 수송 실현

  'CCUS 대체연료'에서는 DAC의 조기 상업화도 기대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데이터의 일원관리, 제품의 에너지 효율 향상 등

  Scope3의 배출 삭감을 적극 전개

  '탄소중립' 및 '순환경제'를 축으로 '환경계획 2023'을 전개

  제품환경정보시스템 구축으로 그룹 내 Scope3 데이터를 일원관리

  제품의 에너지 절약화 등을 통해 카테고리11의 CO2 배출 감소로 연결

  2010년부터 가전분야에서 '자기순환 재활용'을 전개

산토리홀딩스 주식회사

  '더 프리미엄 몰츠' ' 더 프리미엄 몰츠<향긋한> 에일'의 일부 상품에,

  재활용 알루미늄재를 100% 사용한 세계 최초 알루미늄캔 채택 실현

  2050년까지 밸류체인 전체에서 온실가스 배출 실질 제로를 목표

  2021년 GHG 배출량(Scope1,2)은 944천t, 기준 년에서 7.0% 마이너스

  Scope3에서는 용기·포장재와 원료가 해당하는 '구입한 물품, 서비스'가 69%를 차지

  UACJ 및 도요제관그룹과 함께 알루미늄캔 1캔당 CO2 배출량을 약 60% 삭감

  향후는 생산효율기반 확립과 저탄소 알루미늄 기초자금 조달 공급망 구축

기린홀딩스 주식회사

  2050년의 넷제로 실현을 목표로 에너지 절약 추진,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에 힘쓰면서

  알루미늄캔, PET 병 등의 용기 경량화를 통한 Scope3 삭감으로

  내부탄소가격을 이용하여 기업 활동의 저탄소화에 박차를 가하다

  기린맥주 9공장에서 대규모 태양광 발전 도입, 5,800t/년 온실가스 감축 실현

  GHG 배출량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Scope3의 삭감을 위해 이해관계자와의 협력관계 강화

  자사에서 컨트롤이 어려운 신지금에 의한 GHG 배출량 삭감에 대해서는

  제관 메이커 어프로치 등 다양한 수단 모색

알루미늄캔재활용협회

  2025년도 알루미늄캔 재활용률 92% 이상, 리듀스율 6.0% 이상 달성

  자원순환을 촉진하고 일본의 재활용 의식을 높이는 계몽활동에 주력

  2021년도 일본 알루미늄캔 재활용률은 96.6%, 전년도보다 2.6% 상승

  동년도 CAN to CAN 비율은 67.0%, 전년도보다 4.0% 감소

  2025년도까지의 목표치인 알루미늄캔 중량 16.0g/캔에 대해 2021년도에 15.96g/캔 실현

  2021년도 리듀스율은 6.2%로 2025년도 목표를 앞당겨 달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